공자의 말 - 포스트코로나, 공자에게 길을 묻다
최종엽 지음 / 읽고싶은책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자의 말

동양사상의 가장 근본이 되는 유교

그 유교이 기본사상은 공자에서 부터 옵니다.

공자는 2500년 훨씬 전에 사람이지만 우리는 아직도 공자를 배우고 익히고 있습니다.

2020년 전 세계가 코로나로 인해서 팬데믹에 빠져있습니다.

한가지 놀라운 사실은 동아시아의 전염율이 유럽, 서양문화권보다 훨씬

적었는데요. 그 이유를 유교 ,공자 사상 문화권의 특징으로

보는 견해가 있습니다.

유교의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다시 공자사상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과

책들이 넘치네요.

오늘 만나보는 < 공자의 말>

제1부에서는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중심으로 나를 꺠어 일어서기

리더로서 성장과 인문학 소양을 주로 다루었고

제2부에서는 조직의 발전과 성장을 중심으로 조직 속의 우리를

위한 인간관계, 가정에서의 효와 우애, 조직경영 전략, 정치와 공공의 발전을

주로 다루었습니다.

 

 

여러 말들이 나에게 다가왔지만 울림이 있던 말들을 적어볼께요.

배우지 않으면

인자함은 어리석음이 되고, 지혜로움은 방탕함이 되며 믿음은 남을 해치고

정직함은 가혹함으로 바뀌며, 용감함은 난폭함으로 바뀌고, 강직함은 경솔함으로 바뀐다.

교육의 4가지은 子以四敎 文行忠信(자이사교 문행충신)

문은 경전, 예, 악, 행=실천, 실행입니다.

충은 충성심을 말하고 신은 신뢰, 신의입니다. 공자교육의 실천사항입니다.

실행, 신의, 성실, 신의입니다.

리더는?

리더는 일을 할 때 보편적인 규범과 법칙에 어긋나지 않아야 합니다. 리더는 일을 할 때 겸손한 언행으로 이끌어야 됩니다. 리더는 일을 할 때 책임과 신의로써 완성해야 됩니다.

 

 

공자는 무엇보다 사람됨을 우선했습니다.

사람으로서의 가치와

올바른 사람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중시했습니다.

전 시리즈에 나왔던 한비자에서는 군자로서의 리더쉽

리더가 어떤 소양을 갖추어야 되고 리더가 되었을 때

주변사람과 백성들을 관리하고

리더로서 천명(天命)을 받들어 훌륭한 군주가 되는 일이라면

 

 

공자스스로 사람이 되어야 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으로서 역지사지를 가지고 사람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법을 가르치고

君子로서의 도리를 가르칩니다

 

중국의 춘추전국시대 때 사람들이 아직까지도 회자되고 있고 그들의 사상과

철학이 지금까지도 이여지고 있습니다.

제가 동양사상에 관심을 갖게 된 건

각 나라의 코로나의 대응을 보면서 동양과 서양에 다른점에 대해

그 근본적인 원인이 궁금했습니다.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아시아권 나라에서 코로나 초기대응을

잘하는 이유와 국민들이 거기에 따르는 이유

국가가 개인의 삶의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왜 국민들이 국가 말을 잘 듣는지

그런 것들이 궁금했습니다.

동양사상에서 지금시대을 살아가야 할 지혜가 찾을려고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