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군주론 - 국민주권시대의 제왕학
양선희 지음 / 독서일가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帝王學(제왕학)​의 관한 이야기입니다.

제왕학이란 ?

군주가 사람을 쓰는 이야기, 군주가 어떤 사람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사람을 자기 목적에 맞게 움직이도록 할려면 스스로 어떻게 처신해야 되는지 군주 처세를 다루는 실용적 기술서입니다.

군주에게 제대로 일할 신하를 잘 뽑아서 적재적소에 앉혀놓고 그들의 일을 감시하고 잘하면 상주고 잘못하면 벌을 주는일, 그것이 왕이 해야 하는 일입니다.

21세기 제왕학이 필요한 이유는?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국가로 대통령제로 운영되는 나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대통령을 군주로서 제왕적인 성격이 무척이나 강하다.

중앙집권적이며 대통령이 되면 모든지 할 수 있는 권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 일이 반복이 되면서 대통령 임기가 끝날 때는 불행한 일들이 반복이 된다.

죽거나, 탄핵되거나, 감옥에 가거나 대통령이 끝나고 편안하게 사는 사람은 정말 성공한 사람인것이다.

기업은 제왕적 성격을 벗어나지 못 했다.

기업총수는 대부분 자신의 자식을 후계자로 삼고 후계자 교육을 실시한다.

그야말로 제왕교육을 어릴 때부터 하고 자신의 권력과 자산을 나누고 자신의 왕국을 대물림합니다.

제왕학은 제왕들의 생존술 실용지식입니다. 나라를 잘 유지하는 일은 정치가 안정되고 나라의 곳간이 풍족하고 야심찬 신하들을 제압하고 호시탐탐 기회로 나라를 침입해오는 적국을 대응 하는 일입니다.

군주의 통치 비결은 무위를 일로 삼고, 불언의 영을 행하는데 있다.

마음은 청정하게 동요하지 않으며 법도를 일정하게 움직여 만사를

신하에게 맡기고 자신의 그 성패의 책임을 물을 뿐

스스로 힘쓰는 일이 없도록 해야 된다.

한비자

고전으로 리더쉽을 배울 수 있는 책으로 한비자, 노자를 바탕으로 한 리더로서 갖추어야 될 덕목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제왕학은 가장 현실적인 인문도서이기도 합니다.

왕, 신하, 백성이 있는 그런 중세시대는 아니지만 여전히 우리 옆에는 제왕이 존재합니다.

자신이 속한 조직의 리더가 제왕입니다.

조직 안에 사는 사회적 동물이기에 수 많은 리더들을 살면서 만납니다.

내 조직의 리더는 어떤 사람인가요?

그 리더가 잘 할려면 난 어떻게 해야 되는가요?

나는 어떤 리더일까요?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마음으로 준비해야 될까요?

이 책은 지금을 살아가는 모든 이들의 처세술의 관한 책이면서 교양서입니다.

책과 콩나무 서평단에 선정되어 책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