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의 역전 2 - 달라진 세계 힘의 역전 2
문정인 외 지음, 정혜승 기획 / 메디치미디어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각 분야에 전문가들이 각자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이 살아가야 되는 세상에 대해서 말했다.

전 청와대 디지털소통센터장 정혜승의 프롤로그로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 문정인, 외국인 언론인(명상앱 코끼리 대표) 다니엘 튜터, 보수당 전 국회의원 김세연,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유명희, 대안금융경제연구소장 삼프로TV

진행인 김동환, 밥상의 역전 대체육에 대해 말한 지구인컴퍼니 대표 민금채, 경제기사 LAB2050 대표 이원재 등 8명의 이야기를 담았다.

각자의 분야에서 다른 애기를 하였지만 결론은 하나였다.

코로나로 인해 우리는 더이상 이전에 삶이 아닌 다른 삶을 준비해야 하고 질서를 준비해야 한다.

전세계 전염병으로 인해서 삶의 패러다임도 철학도 그에 따라서 국가가 해야 할 일도 변했다.

단지 코로나로 인해 변화된 것은 아니다. 변화가 그 전부터 감지되어 왔지만 코로나로 인해서 급격한 변화를 맞은 것이다. 잠재되어 있었던 문제점들이 수면 위로 올라왔고 디지털, 팬테크 시대가 도래하였지만 코로나로 인해서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한국이 여기서 중심을 잘 잡고 있고 리더로 우뚝 서는 계기가 되고 있다.

세계 판권이 변화하는이유는 미국 중심의 패권은 중국이 상승하고 미국 내 여러 불안등이 맞물러서 예전처럼 국제적인 리더쉽을 발휘하기 어려워졌다. 전염병 대체를 슬기롭게 하지 못하는 행정부는 그 동안 자국민에게 쌓여있던 불평등과 불안함을 더욱 부각시켰다.

이 포럼의 핵심은 국가란 무엇인가요? 국가와 국민의 관계를 어떻게 만들어 나갈 것인지 국가의 역할이 무엇인지 국가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개인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거기에 대한 추상적인 개념이 이 포럼 안에 있었다.

모두가 혼란의 시대의 누구를 따라간다고 해서 해결되는 것도 아니고

각자 나라의 이익과 문화에 따라 해결방안을 찾으려고 각 국가들은 노력중이며 서로가 도와가면서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인류 재앙을 극복하고자 하는게 요즘 세계정세의 핵심이다.

개인은 예전보다 더 똑똑해졌습니다. 몸은 갈 수 없지만 세상은 이미 디지털로 연결되어 있고

대면 하지 않았지만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은 세상이 되었습니다. 스스로 자신의 맞는 정보를 습득하며 각자의 방식으로 새로운 세상을 맞이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가 지속된다면 각 국마다 빗장 정책으로 성곽도시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은 하고 있지만 인류는 해양와 바다를 통한 교류에서 디지털 세상이라는 새로운 세상을 창출했다.

​우리의 과제는 디지털세상을 사회적 규범 안에 포함 시키는 과정을 해야 할 시기입니다.

대한민국은 잘 하고 있고 앞으로 더 밝은 미래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GDP수치로 대한민국 자체를 평가하지 말고 국민 스스로도 행복하고 건강한 사회가 인정 받을 수 있는 사회로 변모해야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