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15번의 무역전쟁 - 춘추전국시대부터 팍스 아메리카나까지
자오타오.류후이 지음, 박찬철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가장 큰 리스크는 미국 자국민 보호정책이다.

미국 자국의 보호무역으로 우리나라와 같이 수출이 GDP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나라로서는 이 정책은 매우 불안하고 한국의 경제상황에 많은 영향을 준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최근에 발표한 중국IT기업들을 대대적으로 단속하고 보호망을 치고 있다.

이런 조치들은 점점 커가고 있는 중국을 견재하려고 한다.

무역전쟁의 본질은 세계의 문명의 흐름과 세계역사와 같다.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무역전쟁의 본질이 무엇이고 세계사가 어떻게 흘려가는지를 보여준다.

                                                                     

중국의 춘추전국시대부터 지금의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까지 3,000년간 세계 무역 갈등이 어떻게 진행되고 해결 되었는지 보여준 책이다.


1부 : 왕조의 흥망을 좌우한 무역전쟁 : 춘추전국시대부터 대향해시대까지

1) 춘추시대를 제패한 제나라의 비미

2) 중원의 주인을 결정한 돈의 힘

3) 동양과 서양을 이은 향료 무역

4) 바다의 마부 네덜란드의 흥망성쇠

2부 전 세계 패권을 뒤흔든 무역전쟁 : 대륙붕쇄부터 대공항까지

1) 대륙을 봉쇄한 작은 거인 나폴레옹

2) 미국을 남북으로 나눈 아나콘다.

3) 아편 앞에 무너진 은의 제국

4) 대공황에 정점을 찍은 관세전쟁

5) 은본위제를 포기 할 수 밖에 없었던 중국

3부 바로 오늘의 무역전쟁

1) 또 하나의 세계전쟁

2) 중국을 괴롭힌 일본의 비밀전선

3) 한국전쟁을 삼킨 무역전쟁

4) 식량과 석유라는 새로운 축

5) 일본의 굴기와 미국의 반격

6) 바나나와 철강을 놓고 다툰 미국 EU


<세계사를 바꾼 15번의 무역전쟁>의 저자는 자오타오와 류후이이다.

이 책을 전체를 보는 시선은 중국인으로서 보이는 무역 갈등이 무엇인지 고찰하는 느낌을 받는다.

저자는 여러방면에 박식하고 전쟁이 이러나는 본질적인 이유에 대해서도 잘 설명하고 있다.

무역은 바로 나라와 나라끼리의 약속이면서도 돈, 사람, 문화가 교류하면서

발전하고 융성하는 것이다.

무역이 좋은지는 잘 알고 있지만 누구나 자국의 이익을 증대와 타국과의 관계에서 우위를 얻어

유리하게 교역하고 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1차~2차 세계대전을 말을 할 때는 통계자료, 숫자로 그 상황을 설명하고 각 나라마다 무역대처 상황들을

설명하고 있지만 춘추전국시대에서는 심리와 사회현상에 대해 더 깊이 다루어주었다.

무역전쟁은 정의가 아닌 경제적 이익을 위해 싸우는 전쟁이고

무력으로 싸우지 않으면서 상대를 굴북시키는 전쟁이다.

춘추시대를 제패한 '관중'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관중은 중국 최초의 경제학자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2000여년 전 각종 경제수단을 동원하여 무역전쟁으로 병기를 쓰지 않고도 상대를 굴복시킨 관중은 무역전쟁의 최초라고 작가는 평하고 있다.

그가 주목한 건 상대방을 이기기 위해 전면전을 펼치지는 않는다. 그 상황을 먼저 파악을 한다.

그 때 가장 주목해야 하는 점. 무기 또는 그 밖에 것들이 생산하는데 필요한 비용, 시간 등을 다 계산을 한다.

상대방의 생산량과 시간을 계산하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생산품이 무엇인지 파악을 한다.

결국 먹고 사는 것에 집중 할 수 밖에 없으며 경제권을 잡은 사람이 승자가 된다.

첫번째 이야기가 경제권을 주도하는 과정을 이야기 했다면 두번째 이야기는 패러다임을 만들어서

경제의 흐름을 뒤바꾸어 놓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여기서 등장하는 "사슴" 처음에는 그저그런 동물이였다. 그리 중하지도 그렇다고 해서 흔하지도 않는 동물이였다. 그러나 가치가 들어가고 사람들이 수요가 몰리면서 통상 2전 했던 물건이 결국에는 100전을 더 내고도 못 파는 물건이 되었다. 농부들은 사슴이 식량 100석과 같다는 애기를 듣자 너도나도 사슴 사냥에 나선다. 본연의 일들도 때려치우고 불나방처럼 이 일에 매달린다.

이런 파국이 결국 초나라를 망하게 하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전반적을 든 나의 소견은

해양시대를 여는 사람. 교역에서 선 우위에 있는 사람이 세계를 제패한다.

지금의 미국이 된 것은 유럽이 전 세계로 무역시장 개척을 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과이다.

서양 입장에서 아메리칸 대륙에 발견을 동양사회로 부터 무역을 하고자 하는 그들의 의지였다.

향료를 찾기 위해서 그들은 먼 바다로 떠났다.

유럽사회에서 나라의 흥망성쇠는 바다를 쥐고 있는냐에 따라 달라졌다.

저자가 아편전쟁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어리석었다고 평가하는 건 중국이 밖을 보지 않고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 한 점이다.

현100년이 넘게 미국이 세상을 주도 하고 있다.

미국이 주도한 세상 뒤에는 전쟁이 있었으며

미국 본토에서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았지만 미국은 100여년간 많은 전쟁에 참전하였다.

그들이 전쟁에 참전한 건 그들이 정의로워서가 아니다.

그들의 이익이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어 있고 무역전쟁에 한 형태임을 알아야 된다.

대한민국은 미국과 중국 무역전쟁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나라이다.

그들의 싸움에 우리는 희생 될 수 있다.

과거에도 그랬듯이 중국은 경제적으로 압박 해 올 것이고

미국은 군사적으로 압박 할 것이다.

이 외줄타기에 어떻게 대처 할 것인가.

그리고 중요한 것 하나는 영원한 승자가 없다는 거다.

미중 무역전쟁에서 영향을 받아서 나라 전체가 휘청 걸릴 수도 있지만

위기가 기회이다. 오히려 그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에서 우리의 이권을 고수하고

더 많은 것을 얻어 올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