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불평등 - 21세기문화총서 9
허버트 실러 지음, 김동춘 옮김 / 민음사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정보화사회.’ 이 용어는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앨빈 토플러가 ‘제 3 의 물결’이라고 명명한 새로운 시대에는 인터넷 등의 뛰어난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가 우리에게 커다란 도움이 되리라는 식의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을 정도이다. 꿈의 속도로 미래를 향해 가는 길이 열린 것 같은 이 21세기에 과연 어떤 장애물이나 문제점은 존재하기나 할 수 있을까?

뛰어난 통찰력을 가진 선각자는 하나의 개념으로 수많은 사례들을 설명해내고, 다양한 분야에서 일관된 하나의 관점을 찾아낼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다. 허버트 쉴러는 이 정보화사회에 대해 ‘정보불평등’이란 하나의 개념으로 맥락에 충실한 현실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도록 정리해냈다. ‘제 3의 물결’, ‘정보화사회’라는 말과 동시에 떠올리게 되는 장밋빛 희망의 정체는 무엇인가? 그 희망은 정말로 장밋빛인가?

허버트 쉴러의 통찰력으로 그 희망을 파헤쳐보면 있지도 않은 허상에 감추어져 버린 현실이 직시하게 된다. 바로 그 현실이란 힘있고, 권력을 가진 어떤 소수의 어떤 집단이 모든 것을 지배하려고 한다는 것을 명제이다. 여기서 모든 것이라 함은 정말로 모든 것이다. 사람으로 살아가는 데에 필요한 모든 상업화된 것, 자본이 사용되는 모든 상업화된 것, 광고하게 되는 모든 상업화된 것은 소수의 초거대 기업이라는 세력의 뜻에 의해 좌지우지된다. 이 모든 것에서 벗어나는 범주들은 점점 더 찾아보기 힘들어 지고 있다.

이것은 미래를 부정적으로 다룬 공상과학영화에 흔히 보여지는 장면이다. 그러나 이 섬뜩한 묘사는 미디어를 연구하고 있는 사회과학자에 의해 고발되는 현재의 모습이기도 했다. 허황된 음모론같이 보이는 이러한 시각은 어떻게 지금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에서 그러한 지배가 사람들 모르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물론 허버트 쉴러의 연구는 미국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라고 칭하기 보다는 ‘미국인들’, ‘사람들’이라고 칭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변방중의 변방인 대한민국, 포항이라는 작은 도시의 변두리인 남송리 3번지에 사는 한동대학생인 나에게 이것은 묘한 착각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위기는 정말로 나와 연관이 있는 것인가? 미국 만큼 심각한 것은 아니지만 분명히 허버트 쉴러가 지적한 것처럼 초거대 기업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면, 그러한 지배를 받게 되는 것은 우려한다면 전지구에 있는 사람들 모두를 우리라는 테두리 안에 두는 것도 온당할 수 있을 것이다. 삶의 모든 부분이 해체되어 돈으로 해결되는 거래가 되어버리려고 하는 우리의 현실은 허버트 쉴러의 탁월한 통찰에 여전히 적용된다.

정보화사회에서 자유는 힘있는 자들의 자유이다. 즉, 기업만을 위한 자유다. 정보화 사회로 인한 희망이란 극소수를 위한 희망일 뿐이다. 갈등은 사라지지 않았다. 갈등은 기술의 발전으로 전혀 없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심각해진다. 그러나 특이한 상황은 정보가 중요해지는 시대에 기업의 자유가 만인을 위한 자유처럼 포장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들이 사회구성원 모두를 기만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시대에 ‘문화’라는 이름은 문화산업을 소유하고 있는 특수한 사람들의 교묘한 설득작전인 것이다. 따라서 이 희망은 결국 절망이다.

장밋빛을 약속했던 새로운 미디어는 기업의 소유가 되었다. 결국 이것 또한 광고의 수단이 되어버릴 것임이 예정되어 있는 것이다. 사회적 자원, 공공의 권리들이 개인화된 기업들에게 판매되고 있다. 사회적 정당성을 가지고 있는 정부의 권한과 권력은 점점 줄어들고 있고 헌법조차도 기업들을 보호하고 있다. 비단 이러한 상황은 미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점점 후기 산업화 되어가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이 될 것이라는 경고를 이 책을 통해 들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