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란티어 1 - 옥스타칼니스의 아이들 밀리언셀러 클럽 - 한국편 2
김민영 지음 / 황금가지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팔란티어는 예전에 출간된적 있는 '옥스타칼니스의 아이들'의 개정판이다.

개정판이니 만큼 예전에 쓰였던 용어들이 부분적으로 수정되었다. 하지만

재미만큼은 여전히 중독적인 수준이다. 리뷰를 쓰고 있는 본인도 시험기간

임에도 불구하고 매일매일 책을 볼 수 밖에 없었다면 어느정도인지 대충 느

낌이 올 것이다.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


 예전에 유행하던 모 카드회사 광고카피이다.

 이러한 광고카피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인간은 본능적으로 자신이 살아가는 현

실을 떠나서 자신이 가본적 없는 새로운 곳으로 떠나기를 희망한다. 인간의 핏

속에는 이러한 조상들의 방랑벽이 아직도 존재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여

행으로 이러한 갈증을 달래고 있지만 이것은 비용과 시간이 굉장히 많이 들어

가는 것이라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것이 현실이다. 팔란티어는 이러한 모든 제
약 조건을 뛰어넘는 새로운 방식의 여행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실의 누

구라도 매연과 시멘트 빌딩과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삭막한 곳 보다는 깨끗한

공기와 오염없는 산천초목이 펼처진 유토피아를 더 선호할 것이라는 것은 당

연한 사실이다. 거기에 각종 흥미진진한 모험이 양념처럼 곁들여지니 금상첨

화는 바로 이런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팔란티어는 단순히 말하자면 온라인 게임이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키

보드와 마우스로 하는 일방적인 게임이 아니라 현실로 느껴질 듯한 공간에서

상상력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실감나는 쌍방향 방식의 게임인 것이다.

 

 소설의 내용은 국회의원의 살해사건으로부터 시작한다. 평범한 젊은이가 광

폭한 살인마로 순식간에 돌변하는 장면은 어느 영화보다도 더 이미지가 강렬

하다. 이러한 살인사건을 조사하는 합동수사반의 형사 욱과 그의 친구인 프리

랜서 프로그래머인 철이 사건의 전모가 팔란티어라는 게임속에 존재하는 것

을 우연찮게 알게되었고 이들이 게임과 현실을 넘나드며 하나하나 실마리를

풀어나가는 과정이 손에 땀을 쥐게한다. 왜 소설이 단순히 게임소설이 아

라 스릴러라는 특징까지 갖는지 궁금한 독자들은 책을 읽어나가면서 조금

알게 될 것이다. 

 

 팔란티어는 게임소설이라는 장르가 흔하지 않던 시절에 등장했었고 그 당시

만 하더라도 소설과 게임의 결합이라는 것은 판타지만 접했던 사람들에게 굉

장히 신선하게 다가왔다. 요즘이야 인터넷 소설이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어서

굉장히 진부해보이는 설정도 어느정도 팔란티어로 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해

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이 소설은 게임이라는 설정 외에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을 다루는 정신의학

을 아주 매끄럽게 접목시키고 있다. 저자가 의대를 나온 의학도이니 만큼 전

문적인 내용을 일반인들에게 쉽고 친절하게 풀이해주려는 노력이 소설 군데

군데 보인다. 어찌 보면 게임소설에 있어서 이러한 정신의학은 필수 요소가

될 수밖에 없다. 게임 속 캐릭터는 본인인 동시에 본인이 아니기도 하기 때문

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꿈을 꿀 때 꿈속의 주체는 분명 나 자신이지만 자신

이 마음먹은데로 스스로를 이끌어갈 수 있는 경우가 드물지 않는가? 

 

 이러저러한 것을 모두 배제하더라도 '팔란티어'는 소설로서의 작품성과 재

미 모두를 갖춘 문무를 겸비한 명작이다. 이러한 소설이 국내 장르시장에 많

알려져서 상업적으로도 크게 성공하여 제 2, 3의 팔란티어가 나와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물을 마시는 새 1 (양장) - 심장을 적출하는 나가
이영도 지음 / 황금가지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드래곤 라자', '퓨처워커', '폴라리스 랩소디'를 안타깝지만 모두 책으로 보았다. 그래서 영도님의 다음 소설은 꼭 통신으로 보기로 마음먹었다. 책과 통신에 연재되는 글은 내용은 같을지라도 독자에게 다가오는 느낌은 180도 틀리다는 것을 '눈물을 마시는 새'(이하 눈/새)연재를 통해 처절할 정도로 절실히 느꼈다. 얼마전에 산 눈/새 양장1권을 읽어보면서도 이를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매일매일 다음 편이 올라오기를 기대하면서 다른 사람들과 전 날 올라온 내용에 대해 서로 이야기를 나누거나 다음 편의 내용에 관해 추측을 해보는 재미는 해보지 않은 사람은 절대 알 수없는 것이다.

이미 많은 분들이 서평을 쓰셨다. 눈/새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있다고 자신하는 분들이다. 그리고 그것은 사실이다. 6개월간 눈/새를 읽으며 동고동락한 좀비동지들의 서평을 읽자니 감회가 새롭다. 눈/새엔 특별한 것이 분명히 있다. 다른 판타지 소설과 크게 다른 그 무엇인가가 있다. 이것은 톡특한 세계관일수도 있고, 독자를 글에 무섭게 몰입시키는 작가의 재기넘치는 문장력일 수도 있다. 또는 치밀하게 구성된 플롯일 수도 있다. 이런 의미에서 눈/새는 모든 이들에게 아름답게 보이는 이성(異性)이다. 존재할 수 없는 것이 존재하는 것이다. 어느 누구도 눈/새를 보고 반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눈/새'는 '나늬'와 같다. 눈/새를 내 생애 최고의 판타지 소설로 생각하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올 해의 최고의 판타지 소설인 것만은 확실하다. 모든 분들이 눈/새를 읽어보길, 그리고 그 즐거움에 빠져서 '계명성'을 질러보시길 기대해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영엄마 2005-07-10 1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답글 달아주셔서 고마워요~ 저는 '드래곤 라자', '퓨처워커', '폴라리스 랩소디', '눈물을 마시는 새' 모두 책으로 읽었는데..^^ 피를 마시는 새도 통신으로 연재하셨던가요? 통신소설연재는 거의 접해보질 못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