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 1
마크 레비 지음, 강미란 옮김 / 열림원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책 표지가 신비스럽기도 하고, 책 내용이 인류의 첫 밤을 찾는 것이라고 알고 책을 펼쳤기 때문에,

굉장히 기대가 컸던 책이었다. 이 소설은 낮 1, 2 두 권의 책 다음 편으로 나온 것이라서, 낮 편을 먼저 읽고 밤 편을 읽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나는 낮 편을 읽진 않아서 사실 처음 이 소설을 읽었을 때 조금 헤맸고, 이해 안 가는 부분도 있었지만 쭈욱 읽어나가다 보니 어떤 내용인지 금방 감이 잡혔다. 하지만 역시 낮 편을 먼저 읽고 있는 게 더 재밌을 것 같다. 처음에 약간 지루하고, 몰입도가 떨어졌기 때문에 ㅠ_ㅠ

 

 

고고학자와 천체물리학자 커플이 인류의 기원을 찾아 나서는 여행은 그 자체만으로도 흥미로우며, 그 다음 페이지를 넘기지 않을 수 없게 한다. 뒤로 가면 갈수록 더욱 더 흥미로워지며, 과연 마크 레비 작가가 상상한 우리 인류의 기원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된 것일까, 하고 궁금해지고 단숨에 끝까지 책을 읽게 하는 힘이 이 책에는 있다.

 

두 권이지만 제법 빠른 시간 안에 책을 읽었다.

 

하지만 뭔가 아쉬웠떤 점은 1권에서 아드리안과 키이라의 러브 라인이 어떻게 보면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역시 낮 편을 읽지 않아서 인 것일까 ㅠㅠ 사랑하는 연인이 인류의 기원을 찾아가는 여정인만큼, 그 안에는 러브 스토리가 들어가야 맞겠지만, 그것이 어쩌면 조금 길고 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로파일러
팻 브라운 지음, 하현길 옮김, 표창원 감수 / 시공사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평범한 가정주부가 독립 프로파일러가 되었다는 것, 그리고 그녀가 다루는 사건들이 전부 다 실화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사건이 일어난 시기는 1990년대~ 2000년도 초반이다. 그래서 지금의 경찰 수사가 어떤지는 이 책에서 다루고 있진 않지만, 그렇게 큰 차이가 있을 것 같지는 않다. 기술이 보다 진보되었을 뿐. CSI 등의 수사물들을 보면서 과학수사라는 것에 대한 환상을 품고 있는 내게 팻 브라운은 현실을 일깨워주었다. 그리고 사이코패스들이 얼마나 잔인하고, 거짓말을 아무렇지도 않게 하면서 수사에 혼선을 주는지도 일깨워 주었다. 우선, 경찰 수사는 너무나도 허점이 많다. 정치적 문제의 개입이 있을 것 같으면 수사를 다른 방향으로 돌려버리고(설사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더라 할지라도), 형사의 개인적인 가정 문제로 수사가 등한시 될 수도 있으며, 범인이 아닌 자의 거짓 자백을 받기 위해 모든 수사력을 그 한 사람에게 쏟아 붙는다던지, 살인 현장 보존을 하지 않고 절대적으로 자살이라고 치부해 버린다던지.. 등등 셀 수 없는 경찰 시스템의 문제들을 이 책은 고발한다. 정말 경찰들이, 형사들이, 제대로 사건을 보고 심혈을 기울였다면 충분히 밝혀 낼 수 있는 범인인데도, 눈 앞에 범인을 두고 기소하지 못하고, 심지어는 엉뚱한 사람을 용의자로 몰아 피해자 가족들에게 상처만 준다. 이 책을 읽을 때, 우리 나라 경찰 수사도 미국과 다를 게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이 등한시 했던 증거품들 때문에 범인들은 수사망을 요리조리 피해갈 수 있었던 것이며, 결국 피해자 유족들에겐 끝이 나지 않을 것 같은 수사에 지쳐 프로파일러인 그녀에게 요청하게 된다. 이러한 악순환은 프로파일러인 그녀에게 극소량의 증거만이 넘겨져 재수사에도 어려움이 있게된다. 나 뿐만이 아니라, 이 책을 읽는 어느 누구에게도 이러한 답답한 마음이 들 것이며, 경찰 시스템에 대한 회의감이 밀려올 것이다. 게다가, 우리 주변에서 싸이코패스들이 쉽게 도사리고 있을 수 있다는 사실에 소름 끼쳤다.

     아무튼, 그녀가 풀어놓은 생생한 실제 사건들을 흥미진진하며, 우리들에게 많은 바를 시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