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땅의 야수들
김주혜 지음, 박소현 옮김 / 다산책방 / 2022년 9월
평점 :
품절


미국 독립 출판계에서부터
주목받기 시작한 한국계 작가의 첫 장편소설이다.
한국의 근대사를 배경으로 하는 대하소설.

슬픈 결말
그러나 희망이 살며시
출렁이는 바다.
앞선 시대가 그렇듯
옥희는 평양에서부터
제주까지 순탄하지 않게
삶을 지탱한다.
연도별로 사건을 중심으로 개인의 삶,
우리 민족의 삶과 죽음으로 역사는 흐른다.

가장 기억에 남고
타인의 생각도 궁금했던 부분은
제 3부
1941년~1948년 이야기였다.

전체적인 역사이야기와 함께 개개인의 삶과
국가별 상황, 또한
우리 민족의 독립운동과 함께
타국(일본인)의 삶을
제3자 입장(?)에서 엿보게 되는 시점도 좋았다.

"인생이란 무엇이 나를 지켜주느냐가 아니라 내가 무엇을 지켜내느냐의 문제이며
그게 결국 가장 중요한 것임을 알겠다."
(P250)
이 세상의 모든 사람은 두 종류로 나뉘며,대다수는 그중 첫 번째 범주에 속한다.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자신이 현재의 상태에서 성공을 향해 더 나아갈 수 없으며 앞으로도 영원히 불가능하리라는 것을 깨닫는 사람들. 그러고 나면 자신의 삶에 주어진 운명을 합리화하고 그 자리에 만족하는 법을 배워야만 한다.(중략)

두번째 범주에 속하는 사람들은 극히 드물다.인생을 마감할 때까지 자아의 상승과 확장을 조금도 포기하지 않아도 되는 사람들 말이다. (P387~388)

삶을 단단히 붙잡거나 미련 없이 놓아주거나, 그 둘 중 하나를 고를 명확한 선택의 순간이 온다고.자신은 매번 죽음을 거부하는 쪽을 택해 왔다고 정호는 말했었다. (P506)

"빌어먹을 전쟁 따위도, 외로움 같은 것도, 다 엿이나 먹으라고 해. 계속 살아남아."
(P514)

천 리 길도 단 한 걸음에서 시작하는 거라고 옛 성현들은 말했다.하지만 그 후 한철이 깨달은바, 인생은 곧 바퀴였다. 영민한 사람이라면 자신에게 주어진 그 바퀴를 잘 굴려 어디로든 갈 수 있었다. 반면 어리석거나 운이 나쁜 사람은 그 바퀴에 깔려 무참히 짓 밟힐 수도 있었다.그 두 극단 사이에서,대부분의 사람들은 오직 그 바퀴를 앞쪽으로 굴러가게 하는 일에 온 힘을 쏟았다.
(P544)

그 모든 세월이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 버렸다.
노년이란,인생의 모든 행복이 앞으로 다가올 날들이 아닌 이미 지나간 날들에서만 발견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그는 어쨌든 자신의 역할을 다했으며, 자신보다 더 위대한 무언가를 위해 살았다.
(P552)

삶은 견딜 만한 것이다. 시간이 모든 것을 잊게 해주기 때문에. 그래도 삶은 살아볼 만한 것이다. 사랑이 모든 것을 기억하게 해주기 때문에.
(P603)

주인공들의 삶이 때론 기쁨에 넘치고 또 한편으로는
슬픔과 고통으로
안쓰러웠지만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삶을 지탱하는 사람들의 용기를 바라보면서
가슴이 벅차올랐다.
희망으로 바라보는 결말.
옥희의 인생을 응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