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평생 일자리에 목숨 걸어라 - 직장생활 길어야 10년, 평생 먹고 살기 프로젝트
김상훈.이동영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본인의 직장생활에 만족을 느끼고 있는가?

이 물음에 대해 긍정적인 대답을 선뜻 할 수 있는 사람도 있겠지만, 망설이는 사람이 더욱 많을 것이다.

요즘은 예전에 비해 평생 직장이라는 개념이 많이 사라진 것이 사실이지만, 아무래도 취업난이 심각하다보니 안정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는 쪽으로 사람들이 몰리는 경향이 있다. 그러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본인이 진짜 하고 싶고 잘할 수 있으면서도 즐기면서 할 수 있는, 그런 '일'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평생 직장은 없다.' 라는 점을 인정해야 세상을 바로 볼 수 있다고 말한다. 이 말은 회사에서 삐딱선을 타라는 얘기가 아니고, 주어진 일에는 최선을 다해야겠지만,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평생 직장이 아닌, 평생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소박한 일자리인 '평생 일자리'를 찾아야 함을 강조하는데, 먼 미래까지 내다보며 사는 것이 힘들 수도 있는 30대 때부터 그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하면 훨씬 더 인생이 윤택해질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직장인으로서의 삶을 계속해서 해나가고 싶은 사람은 회사를 다니면서 자투리 시간을 이용해 평생 일자리를 생각하고 고민할 수 있다. 누구든 지금 당장 그런 준비를 시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 착착 준비를 해온 사람은, 직장에서 나오게 되더라도 평생 먹고 살 수 있는 일자리가 있어 든든할테니 걱정이 없게 된다.

 

회사에서 높은 직책을 맡을수록 책임감이 커지고 그로 인해 압박감을 느끼는 사람들도 많다. 또한 과중한 업무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 힘겹게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도 있다. 자신이 어떤 일을 하고 싶고, 그것을 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할지 생각하면서 삶의 철학을 뚜렷하게 가지게 된다면, 평생 일자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좋은 직장, 높은 연봉이 전부가 아니라, 소박하더라도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살 수 있다는 것. 그것이 진정한 행복일 것이고, 그래야만 삶에서 진정한 여유가 묻어날 것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미래를 불안해하며 사는 것과, 계획을 가지고 준비하는 삶을 사는 사람. 나는 이 중에서 어떤 삶을 살아 온 사람이었는지 성찰해보고, 앞으로의 인생에 대한 큰 그림을 그려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꼭 읽어봤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