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미도 1
백동호 지음 / 밝은세상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나는 영화 “실미도”를 보지 못했다. 영화에 둔감한 나이기에 히트를 치고, 많은 사람들이 감명을 받았다고 해도, 내게 큰 감흥이 없으면 크게 흥미를 가지지 않는다. 그런데 금번에 실미도라는 책이 다시 출간되어서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두 권으로 된 책 실미도, 그 책을 읽으면서 영화를 보았다고 하는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았다. 교도소와 관련된, 교도소에서 있었던 일들이 영화에 나오느냐고 했더니 그 내용은 안 나오더라는 대답이었다. 실제로 백동호와 강인찬 그리고, 그 주변 인물에 관련된 내용이 영화에서는 아무래도 이야기 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가 되어진다.
이제 책을 덮고, 한편으로 영화를 보고 싶은 마음도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꼭 영화를 보고 싶은 마음이 있는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감흥과 긴장감이 영화에서는 훨씬 현장감이 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실제로, 책을 읽고 난 사람들이 영화를 보면 큰 감흥을 느끼지 못하다는 것이다.
아무튼 책을 읽으면서 저자 백동호와 실미도의 실제 현장에 참석했던 강인찬, 그리고 염채은에 대한 긴장감 있는 스릴을 느낄 수 있어서 너무나 좋았다.
또한 그것이 한국의 과거의 모습이었고, 오늘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도 많은 영향이 있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 터전위에 우리가 건축되고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한국과 북한이 대치해 있는 현실 상황 가운데서, 정치 권력자들이 자신의 상황에 맞게 이용할 수 있는 요소가 되어질 것으로 생각한다.
실제적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그렇게 이유도 없이 희생을 당하고, 죽음으로 강요 되었는가? 그리고 그들에게 영웅이라는 호칭도, 아니 인간성까지도 상실된 채, 이제 이러한 죽음, 아니 이와같은 개죽음은 적어도 없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아무리 조국을 위한 것이라는 포장을 하지만, 개인의 생명도 조국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실미도, 거기도 인간이 사는 곳이기에 인간성이 어느 정도 흐르고 있었다. 아름다운 인간적인 모습이 있었고, 감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래도 그것을 통해서 따뜻한 사랑을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아니 나도 그러한 사랑과 의리를 가지고 생활했으면 하는 마음이다. 요즘 시대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권에 관련된 부분으로 인하여 서로간에 깨어지는가. 하지만 그들은 적어도 사소한 일로 배신은 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비록 교도소 안이지만, 풋풋한 사랑의 감흥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미도를 조직하면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는가? 그것은 확실히 밝혀지고 그들에게 대한 새로운 평가도 있을 뿐만 아니라. 억울한 축음에 대하여 명예회복도 있어야 될 것으로 생각을 한다. 또한 역사에 대한 진실한 규명과 바른 평가가 있을 때에 후손들에게 바른 것을 물려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좀더 바르고, 꾸밈이 없는 아름다운 모습을 소유할 뿐만 아니라, 자녀손 들에게 바른 것을 물려줄 수 있는 선배들이 되어야 할 줄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