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비밀코드와 신미대사 - 맥락적 근거로 파고든 한글 탄생 비밀 이야기
최시선 지음 / 경진출판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실 '나랏말싸미'라는 영화가 엄청난 홍보를 했었고,
한글, 훈민정음에 관심이 많은 한 사람이었음에도
나는 그 영화를 여태 보지 못했다.


그래서 사실 이 책을 더욱 흥미롭게 읽었던 것 같다.

위대한 한글창제의 주역이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아닌
세종대왕과 승려 신미대사라니.


더욱이 한문의 어려움으로 인해
백성에게 쉬운 글자를 만들어 널리 알림으로써
백성들에게 더욱 이로워지길 바라며 한글을 반포했던 세종에게
한글이라는 불경한 것을 만들었다며
그 당시 학자들과 관료들이 상소를 올렸다는 것 또한 너무 충격적이었다.


물론 신미대사가 한글 창제에 관여했다거나
세종이 지시를 했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지만,
나랏말싸미라는 영화 이전에도
이미 여러 가지 설이 있었고, 신미대사의 이름은 수 없이 거론되어 왔었고,
수 없이 거론되었음에도 묵살 당한 횟수가 더욱 많았다는 것 또한
우리의 언어를 만들어냈다는 것보다도
종교적인 불편함이 더 큰 문제가 될까,,, 라는 생각도 해보았다.


저자의 말처럼 무언가 학문지나 논문 같기도 하면서,
신미대사를 찾아가는 여행기 같으면서도,
때로는 역사서 같기도 했던 책.


언어라는 것이 그 나라의 꽤 중요한 상징인 데
지금껏 한글을 사랑한다고 했으면서도
나는 한글에 대해, 우리의 언어에 대한 지식이 많이 부족했다는 것을 느끼며


한편으로는
한글을 창제한 자가 세종대왕이든, 집현전의 학자이든, 신미대사이든,
한글이 정말 고유한 언어이든, 불교나 타 언어에서 영감을 얻었든
다 상관없이
그저 과학적이고 훌륭한 언어를 가진 나라의 국민이라는 사실에
다시 한 번 뿌뜻한 기분을 느낄 수 있었던 소중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