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움직이는 한국의 인재들 2 - 미주 한인 리더그룹 50명의 도전과 성취의 꿈 이야기 미국을 움직이는 한국의 인재들 2
현지혜 지음 / 휘즈북스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주 한인 리더그룹 50명의 도전과 성취의 꿈 이야기

제 2권

배우고 가르치며 미래 세대를 양성하고
서비스마인드로 공공이익에 기여한 인재들

세상은 넓고 똑똑하고 훌륭한 사람은 참으로 많다.
가끔... 아니 무척이나 자주.
그런 사람들과 달리
내가 20대떄 지녔던 열정과 도전 정신은 어디로 가고
좀 더 안착되는 삶과 조건을 위해서
입에 '불만'이라는 것을 달고 살아간지가
참으로 오래 되었고, 그 불만은 더욱 커져만 가는 내 모습을 보며
일종의 패배감과 같은 것을 느낄떄가 많다.
다들 참 열심히 살고, 그들만의 꿈을 향해서 달려간다.
나의 구루가 이야기하기를,
하루 2시간씩 집에서 꾸준히 요가 수행을 할 수 있는 사람은
뭐라도 될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하루 2시간 꾸준히 뭔가를 한다는 것.
아무것도 아닌 듯하지만 정말 큰 인내를 필요로 한다.
'미국을 움직이는 한국의 인재들' 이 시리즈에 나오는 사람들은
모두 그 매일 2시간씩 꾸준히 자신만의 것들을 찾아 하는 사람들이다.
꿈꾸고, 도전하고, 달려가고, 성취한다.

그 중 하버드대학교 로스쿨 종신교수인 석지영의 이야기가 인상적이었다.
우리나라 땅도 아닌 엄청난 경쟁자들이 있는 남의 나라 미국에서.
그것도 세계 최고의 지식과 기술과 산업이 넘쳐대고 있는 미국에서
세계 최고 명문 대학의 종신 교수가 된다는 것.
실로 엄청난 일이다.
그들은 어린 시절부터 굉장히 원대한 꿈을 품고 지금도 마치 세계정복과 같은
어마어마한 꿈을 갖고 있을 듯하지만,
의외로 꿈이 소박하다.

가족, 친구 등 가까운 사람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성취하는 삶을 지향한다.

자신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신과, 그리고 그 주변 사람들의 행복이 먼저라는 것을 아는 그녀.
이것이 그녀가 가진 힘이자 삶의 원동력이자
지금까지의 길을 걸어올 수 있게 만든 그녀만의 노하우가 아닐까 한다.
맞벌이하는 그녀의 부모님들을 자녀들과 많은 시간을 함께 해줄 수 없어
책을 주로 선물해주었다고 한다.
그 중에서도 석지영 교수는 특히 위인전을 읽으며 자신의 롤모델을 발견하고
동화책을 읽으며 상상의 나래를 펴곤했다고 한다.
역시 독서란 모든 것의 기본이다.


6세에 부모님과 함께 미국 뉴욕 퀸스로 이민을 가게 되었다.
초기 영어를 잘 못했던 석지영 교수는 사실 학교 생활에 참여도 하지 못하고
정서적으로 불안한 나날을 보냈다고 한다.
학교 생활에 흥미와 자신감을 잃었다고...
하지만 부모님들은 그것에 대해서 뭔가 조급하게 생각하거나, 걱정하지 않았으며
그냥 스스로 극복할 수 있도록 격려하면서 기다렸다고 한다.
인재들의 뒤에는 항상 훌륭한 부모님이 계신다.
자녀들의 힘을 한없이 믿고, 응원하고, 격려해주는 부모님의 믿음과 사랑 안에서
그들은 스스로 깨닫고, 성장하고, 도전해나갈 수 있었을 것이다.
결국 스스로 영어를 극복한 석지영 교수는
32세 나이에 미국 하버드 법학 교육의 현장에서 제자들을 양성하는 교수가 되었다.
21세기 새로운 법적 논리를 창출해나갈 석지영 교수.
여성으로써 참으로 부럽기도 하고, 또 그녀의 삶과 가치관에서 배울점이 참으로 많았다.
사실, 글로 어떤 점을 정확히 느꼈고, 감동을 받았다고 기술하기는 나의 표현력에 한계가 있다.
이 책의 50인 한 명 한 명에 대해 정성스럽게 기술한
그들의 연대기, 생각, 가치관 등을 통해서
하루 하루를 좀 더 열심히, 도전적으로 살아볼 이유를 찾을 수 있다.





by 지아이제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