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초 패러독스 - 여성폭력은 결국 남성의 문제다
잭슨 카츠 지음, 신동숙 옮김 / 갈마바람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표지만 보면 엄청 옛날 책 같고 되게 딱딱한 책 같다.

두께도 두껍고 제목도 민감한 사항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읽을 필요를 강하게 어필하는 책이다.

 

제목 아래의 부제가 결국 이 책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다.

여성폭력은 결국 남성의 문제다

 

여성들이 당하는 폭력은 여성 문제가 아니라 남성 문제라는 것이다.

당하는 여성들이 잘못한 것이 아니라 가해자인 남성들이 문제인 것이다.

 

모든 가해자들 중 여성의 비율은 극히 일부이다.

남성들은 자신들보다 약한 여자, 아이, 약한 남성들에게 폭력을 가한다.

 

잠재적 피해자들이 당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것보다

잠재적 가해자들이 폭력을 가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남성들이 나서줘야 한다.

 

나는 그런 사람이 아니야

내 주위에는 그런 사람 없어라고 치부할 게 아니다.

 

사실 폭력 문제는 여성들이나 남성들 모두에게

생각하고 싶지 않은 골치 아픈 주제인 것은 맞다.

 

그러나 여성과 남성이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에서

여성들에게 일어나는 일이

여성들만의 문제일 수는 없다.

 

여성은 남성의 아내, 여자 친구, 어머니, , 여동생, 누나, 직장동료, 친구이기 때문이다.

자신에게 소중한 여성들이 당했다면

남성들에게도 개인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남성들을 모두 잠재적인 가해자로 몰고 죄책감을 느끼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남성들에게 책임감을 느끼게 하려는 것이다.

 

자신이 가해자가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자신의 주변 남성들이 가해자가 되는 걸 방관하지 않아야 한다.

 

뉴스에는 연일 폭력사건을 끊임없이 다루고 있다.

여성폭력은 이미 심각하게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 되었다.

특히 모르는 사람보다 가까운 사람들에게 더 많이 당한다.

통계치를 굳이 예로 들지 않더라도

뉴스만 봐도 얼마나 많은 여성들이 피해를 입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사실 알려지지 않은 폭력사건이 더 많다.

여성들이 신고하지 않고 쉬쉬하며 넘어가는 일이 더 많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자신과 가까운 관계인 남성이 처벌받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기도 하고,

더 크게는 책임을 피해자에게 돌리는 사람들의 관습 때문이다.

 

성폭력 피해 예방수칙으로 남성들에게도 가해자가 되지 않도록 가르쳐야 하는데

여성들에게만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가르친다.

이는 책임을 피해자에게 돌리는 관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성폭력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현상이다.

이 책의 저자는 미국인이지만

한국 사회도 미국 사회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아니, 가부장적인 한국 사회에서 문제는 더 심각할 것이다.

 

내가 아는 사람이 가해자이거나 피해자이길 원하는 사람은 없다.

그래서 대부분 이 문제를 깊이 생각해보고 싶지 않을 것이다.

나도 이 책을 처음 만났을 때 재미없는 책일 거라 생각해서

별로 읽는 것이 내키지 않았다.

 

그러나 아는 사람이 가해자나 피해자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더더욱 우리가 이 문제를 깊이 생각하고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여성이 남성들을 비난하려고 이 책이 쓰여진 것이 아니다.

이 책의 저자는 남성이다.

피해 당한 여성들이 모여 단체를 만들고 활동한 지 오래 되었다.

남성들은 여성들의 얘기를 잘 듣지 않는다.

이제 남성들이 더 나서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백인우월주의와 인종차별주의를 해결하는 데

백인들이 나서는 것이 더 큰 해결을 가져올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이 책은 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사례를 보여주며

사태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우리도 주변에서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면

이 같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남성들은 자신과 가까운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생각이 바뀔 것이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우리 집에 같이 사는 남성에게도 꼭 읽힐 생각이다.

앞으로 우리 집에 태어날 남성에게도 꼭 이야기해줄 것이다.

 

여성은 남성의 소유물이 아니고, 남성보다 하찮은 존재가 아니며,

인간으로서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

여성들은 그것을 이미 알고 있다.

남성들이 그것을 인정해야 한다.

성폭행당하는 것과
자동차 앞 유리창에 머리를 부딪히는 것에는
큰 차이가 없다.
그저 그 후
자동차를 두려워하는 게 아니라
인류의 절반을 두려워하게 된다는 점이 다를 뿐.

마지피어시 ‘성폭력의 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