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와 프로파일러 - FBI 프로파일링 기법의 설계자 앤 버지스의 인간 심연에 대한 보고서
앤 울버트 버지스.스티븐 매슈 콘스턴틴 지음, 김승진 옮김 / 북하우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범죄수사와 관련된 영화나 드라마를 보게되면 사건의 단서를 찾아가면서 범인을 찾는 과정을 보게 된다. 결국 누가 범인이고 범죄를 저지른 이유를 알게 되거나 미제사건으로 남게 되는 결말을 보게되는데, 그 과정을 보다보면 현대로 갈수록 체계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정된 증거와 단서를 토대로 범인을 찾는다는 것은 쉬운일이 결코 아니다. 진짜 범인을 잡기 위한 노력은 <장미의 이름>이라는 중세 수도원을 배경으로 한 살인사건을 해결하는 이야기부터, 현대의 연쇄살인마를 추격하는 것까지 계속되어 왔다. 현대에는 사회가 복잡해지고, 사람들의 생활양상도 다양화 되어서 범행의 동기를 어느 한가지라고 특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체적 진실의 발견과 범죄예방과 처벌이라는 목적을 위해 프로파일링 이라는 기법이 발전했을 것이다.

지금은 우리나라도 경찰이나 프로파일러 분들이 이 시간에도 범죄의 흔적을 좇아 열심히 일하고 있을 것이다. '나쁜놈'을 잡기 위해서는 '잘못없는 사람'도 골라낼 줄 알아야 한다. 잘못하면 '억울한 사람'이 수십년간 안해도 될 수감생활을 하게될 일도 생기기 때문이다. 나중에 무죄임이 밝혀지더라도 그동안의 시간은 보상받을 수 없기에 프로파일링 기법은 세심하면서도 정확해야 한다.

이런 프로파일링 이라는 용어는 한순간에 생겨나지는 않았다. 이전에는 수사관의 증거에 대한 주관적 해석과 추측 및 직감으로 범인을 찾는 경우가 많았다면, 이제는 그동안의 여러 사례와 경험을 축적하고 보다 체계적인 범인 색출을 위한 연구와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보기 위해서는 미국의 FBI의 행동과학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의 저자인 앤 올버트 버지스는 프로파일링 기법을 체계화한 인물이다. 여성이면서도 잔인하고 극악무도한 범죄자들과 인터뷰를 하고 복잡한 사실을 암호해독 하듯이 풀어내어 범인을 찾아내는 연구를 한 사람이다.

그녀가 대단한 이유는 범인을 찾기위해 필요한 전과정에 대해 표준적인 기법을 도입했다는 점이다. 유일할 수도 있는 단서인 범죄현장을 보존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과 어떤 장비 등이 있어야 하는지 부터, 당시에 있었던 여러가지 수사에 방해될 수 있는 편견을 무너뜨리는데도 노력했다.

미국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수사기관에도 관행이나 고정관념이라는 것이 있을 것이다. 이런 점은 수사에 방해가 되는 요소가 많다. 내부에서는 이런 점을 고치기가 힘들기 때문에 저자와 같은 사람이 부단한 노력을 통해 바꿔나가는 모습은 지금도 부러운 모습이다. 우리나라도 과거보다는 많이 나아졌지만, 아직도 바꿔야할 치부들이 많으므로 이런 인물이 꼭 있었으면 좋겠다.

책을 읽다보면 그녀가 사건을 파헤치고 범인의 심리를 분석하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보통사람이면 감당할 수 없을 잔인한 살인마를 대면하고 그들의 행동과 내면의 모습을 분석해내는 모습은 어느 스릴러보다 긴박감을 준다.

사건을 집요하고 깊게 파고들면서 쌓인 노하우와 방법들은 현재 우리가 사는 세상이 덜 위험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앞으로도 프로파일링 기법은 더 발전하고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더 정확한 수사를 하게 될 것이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이런 기반을 만든 사람이 했던 노력과 생각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그것을 사용하는 것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사건에 대해 자만하지 않고 철저하고 세심한 통찰이 있어야 하며, 그 시대의 편견과도 맞서 싸우는 사람만이 진정한 프로파일러가 될 것이며, 그 사람만이 범인을 보는 눈을 갖게 될 것이다.

- 이 서평은 북하우스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