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을 묻다 - 특별한 정원에서 가꾸는 삶의 색채
크리스틴 라메르팅 지음, 이수영 옮김, 페르디난트 그라프 폰 루크너 사진 / 돌배나무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원을 묻다




여름과 가을 사이 지금의 계절과 딱 어울리는 듯한 도서 '정원을 묻다'. 책의 제목을 보자마자 홀린 듯 읽을 수밖에 없었다. 주변 친구들에게 식물 러버로 통할 만큼 꽃과 나무에 관심이 많고 언젠가는 나만의 정원을 가꾸는 것이 나의 오랜 꿈이기 때문이다. TV를 보면 으리으리한 궁전 같은 집 보다는 항상 숲과 풀이 우거진 초록빛의 정원이나 마당을 부러워했다. 물론 이렇게 거창한 꿈이 없어도 그저 책을 보는 것만으로도 꼭 피톤치드가 나올 것만 같은 그런 책이다.


정원의 나라라고 불릴 만큼 아름다운 모습을 자랑하는 정원들이 많은 나라 영국. 영국을 삶의 터전으로 삼으며 지금까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열한 명의 여성 정원사들을 직접 만나고 그들이 가꾼 정원들까지 마주할 수 있는 신기하고 특별한 책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주거 방식으로 아파트를 선호하는 우리 나라와 달리 주택 거주 비율이 높은 나라여서 그런지 정원의 종류와 규모도 미처 다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하고 다채로웠다.


책을 통해서 다소 생소한 정원사라는 직업에 대해 접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너무나도 의미있는 시간이었는데 무엇보다 그들의 정원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새로 알게 된 사실이 있다면 정원사의 역할은 단순히 정원을 가꾸는 것만이 아니라 한 공간과 자연에 관하여 그 이상의 가치와 의미를 실현시키는 뜻깊은 직업이라는 점이다. 벌초는 하는 것과 수목의 조경을 다듬는 것만 하는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이다.




특히 가장 먼저 소개된 베티나 베르나도테 백작은 정원이 예술적으로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실용성까지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신념도 너무나 멋있었다. 이런 노력과 정성 하나하나가 정원과 자연이 우리들의 삶과 동떨어진 존재가 아니라 언제나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라는 걸 다시금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정원을 묻다 속 소개된 정원사들은 대부분이 20년 이상 정원을 돌보는 일을 해오셨다고 한다. 오래된 분은 인생의 반평생을 정원과 함께 하신 분도 계시다고. 그들의 미소는 정원만큼이나 싱그럽고 아름답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주변 친구들에게도 기꺼이 추천하고 싶은 근사한 책이었다.


본 포스팅은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해당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료로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