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전치사연구 - 의미와 용법
이기동 지음 / 교문사 / 199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계기로 영작공부를 하던중. 우연한 기회에 원어민의 교정을 받게되었다.

원어민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았는가 하는 의심이 내 안에서 싹트기는했지만.. 몇번의 교정을 받아본 결과. 현재 내 실력으로 의심을 꿈꾸기에는 아직 멀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쨌든 그렇게 몇번 정도 교정을 받고..  어느날 기회가 되서 내가 쓴 것을 되짚어 보았다. 솔직히 그 전에는 시간이 없었다. 사실 노느라 바빴지만..

차근 차근히 내가 영작한 것을 되짚어보니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전치사였다.

나는 분명 내가 수년간의 독해를 통해 터득하고 있던 전치사들의 뉘앙스를 감안해 각각의 전치사를 적재적소에 배치했다고 생각했건만 원어민은 사정없이 그것을 지적하고 들어왔다.

그렇게 좀 돌이켜 보고 나는 원어민에게 ' 어째서 내가 쓴 전치사들이 그렇게 틀렸느냐? 분명 내가 쓴 전치사에는 그런 뉘앙스가 있지 않느냐? 근데 왜 틀렸다고 하는 것이냐?'라고 따져 물었다.

원어민의 말은 분명 당신이 쓴 전치사에는 그런 뉘앙스가 있지만 당신이 쓴 문장에서 전치사는 내가 여태까지 경험한바로는 너무 어색하니 지적한 것이다. 나도 정확히 왜 그걸 써야하는지는 모르겠다라는 말을 했다.

나는 곰곰히 생각해보았다. 독해에 자유롭기 위해 구동사랑 이디엄을 무지막지 외우던 방법을 사용해서 영작에도 써먹을까 했지만.. 너무 무모하다는 판단이 섰고.. 우연한 기회에 이 책을 접하게 됐다.

나는 적잖이 놀랬다. 내가 뜻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채 그냥 외웠던 구동사들의 전치사의 뉘앙스들이 이책에는 거의다 나와있는 내용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알라딘에 이 책을 주문했다. 아직은 친구의 것을 통해 1/3가량 읽은게 전부이지만.. 이 책이 상당한 도움이 될것임을 확신한다.

뿐만 아니라.. 구동사를 외울 필요 없이 직접 뉘앙스를 알고 있으니  독해에서도 상당한 효과를 발휘할 것이 자명해보인다.

한가지 아쉬운점이 있다면 디자인.  좀 어떻게 개선했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