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왜 수학을 어려워할까?>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아이들은 왜 수학을 어려워할까? - 발달신경생리학자가 들여다본 아이들의 수 세계
안승철 지음 / 궁리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아이들이 왜 수학을 어려워 하는지 발달신경 생리학자의 입장에서 연구를 통해 근본적으로 접근하였다.

저자는 딸아이의 수학을 봐주면서 속 터진 경험 때문에 책을 쓰기 시작하였고 1년 정도의 긴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사실 난 수학...하면 "어렵다"라는 생각이 먼저 떠오른다.

내가 그렇듯이 아이들도 수학을 어려워 할꺼라고 생각 한다.

하지만 대체 왜 수학이 그렇게 어려운 학문으로 인식이 되고 있는 건지 나도 궁금하다.

그 이유를 안다면 5살 우리 민결이에게 수학을 가르칠 때 큰 도움이 될 것 같은데

왠지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그 답을 알게 될 것 같은 기대감이 생긴다.

 

이 책에선 수학과 관련 된 많은 심리학적 실험이 등장한다.

사실 실험 과정이나 결과 부분이 어렵기도 하고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았던 것도 사실이고,

교육서라기 보다는 왠지 논문에 가까워서 지루한 면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천천히 수학을 이해한다는 생각으로 읽어 간다면 조금씩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수학본능>에서는 영아의 수감각이나, 성인의 수감각, 피아제의 오류 등을 다루었고

<수학 걸음마 떼기>에서는 수 세기의 원칙, 수 세기의 발달, 언어와 수세기 등

<수를 딛고 걸어가기>에서는 연산의 발달, 구구단, 의미 더하기 등

<수학이란 장애물 경기장>에서는 수학 장애, 발달 산수 장애, 수학 불안 등

<문제집 뜯어보기>에서는 생활속수학, 방정식 문제, 규칙 찾기 등. 이 있다.

 

이렇게 본문에서 다룬 다양한 수학 영역과 관련된 이론과 다양한 실험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보면

수학의 다양한 영역 안에서 우리가 어떤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

수학에 대해 어떤 잘못된 편견을 가지고 있는지, 

어른들이 아이를 바라보는 잘못된 시선은 무엇인지.

수학 교육의 잘못된 방향에 대해서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15+7을 세로식으로 풀 때 어른들은 흔히 "더해서 12가 되면 1은 위로 올려주고"라고 하지만

아이 입장에서는 1을 올려준다는 말을 이해하기 힘들다고 한다.

또한 어른들은 "하나, 둘, 셋 ,넷 "하며 계단을 오르면 아이가 그 과정을 통해 수를 배울 수 있다고 믿지만

아이는 "하나, 둘, 셋 ,넷 "을 계단 올라갈 때 듣는 특별한 노래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돌계단의 이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고 한다.

이밖에 수학 불안에서는 수학시험에 대한 공포가 수학에 대한 공포를 야기한다는 것과

수학 문제집의 부정확한 표현이나 어려움, 수학을 가르키는 부모의 태도와 교수법에 관한 얘기도 다루고 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아이의 수학적 흥미를 붇돋우고 수학적 재능을 발견해서 그것을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겟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저자의 바람처럼 수학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된 것이 아니라 것이 아니라

" 너 아직 이것도 못하니?" 라는 말을 아이에게 함부로 던지지 않는 엄마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을 통해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아이들의 수 세계를 이해하고 아이의 입장에서 수학을 바라 볼 수 있게 된다면

수학을 좀 더 쉽게 가르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