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의 말 연습 - 화내지 않고 사랑하는 마음을 오롯이 전하는 39가지 존중어 수업
윤지영 지음 / 카시오페아 / 2022년 9월
평점 :

결혼하기 전 싱글이었을때, 남자아이 둘을 키우는 분이 아이들에게 화를 내는 모습을 본적이 있다. 나는 속으로, '왜 본인이 기분 안 좋은 것을 아이들에게 풀까? 나는 저렇게 성숙하지 못한 엄마는 되지 말아야지.'라고 생각한 적이 있다.
시상식에서 배우 윤여정님이 하신 말씀을 빌리자면, '네가 뿌린 대로 거둔다'는 말이 있다. 내가 아이들에게 화를 내는 모습을 본다면 누군가 나를 비난할 지도 모르겠다. 내가 엄마가 되고 보니 알겠다. 아이들에게 예쁘게 말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걸 이제야 알겠다. 아줌마들이 왜 그렇게 부스스한 머리, 푸석푸석한 얼굴로 하고서 바쁘게 돌아다녔는지. 왜 우아함과는 거리가 멀어보였는지 이제는 너무나 잘 이해가 된다.
내가 꿈꾸던 우아하고 아름다운 엄마와는 이미 거리가 멀어져 버렸지만, 포기할 수 없는 것이 있다. 바로 '예쁜 말'이다. 말이 칼보다 아프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이야 모두 같겠지만, 부모도 연약한 사람이다 보니 때때로 실수하고, 아픈 말을 쏟아낸다.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이 앞서서, 존중하고 사랑하는 말보다는 지적하고 충고하는 말을 하게 된다.
인스타그램에서 오뚝이샘을 우연히 만났다. '어쩜~ 이거 내가 아이들에게 했던 말들인데?!' 격하게 공감하면서 오뚝이샘이 가르쳐주는 말들을 필사하기 시작했다. 핸드폰에 저장해놓고 보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는데, <엄마의 말 연습>이라는 오뚝이샘의 책이 나와서 참 반가웠다.

지시, 지적, 명령, 경고, 넋두리, 채근, 추궁, 과잉일반화, 비교, 의미 축소, 비난, 왜곡, 면박, 위협, 비꼬기, 책망, 엄포, 마음에 없는 말, 책감을 유발하는 말... 내가 뱉은 이 많은 말들이 부끄럽다. 그래도 어쩌겠는가? 오뚝이샘의 말씀처럼 괜찮다. 나도 아직 존중어가 익숙하지 않아서 그렇다. 연습하다보면 좋아질 것이다. 잘못을 하면 아이에게 진심으로 사과하고, 아이를 존중하는 부모가 되면 된다.
존중어는 크게 '인정, 긍정, 다정의 말'로 정리될 수 있다. 아이의 생각을 인정하는 말로 자존감을 키워주고, 아이의 행동을 긍정적인 말로 해석해주며, 다정한 말로 정신을 키워준다.
외국인과 소통하기 위해 영어 회화책만 외우고 있을 일이 아니었다.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을 유창하게 표현하려면 엄마의 말도 연습이 필요하다. 외국어를 공부하듯이, 책을 필사하고 아직은 익숙하지 않은 말들을 연습한다. Practice makes perfect. 내게서도 마법처럼 존중의 언어가, 예쁜 말이 쏟아지길 바란다.
"내가 바란 것은 아버지의 따뜻한 눈길 한 번, 다정한 말 한마디였소. 영화 <사도>"

"좋은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도 부모의 일이지만, 지금 당장 아이가 느끼는 욕구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도 부모의 일입니다. -p.035"
"아이를 늦지 않게 등교시키는 일만큼이나 중요한 건 기분 좋은 하루를 시작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p.111"
"아이에게 하루 한 장씩 공부시키면서 지식 책장을 채우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건, 매일 한마디씩 존중의 말을 건네면서 아이의 존중 책장을 채워나가는 일입니다. -p.170"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증정 받아 솔직한 리뷰를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