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 국어 1등급을 위한 중학 국어 만점공부법
서정재 지음 / 믹스커피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대급 '불국어' 수능 되나…

한껏 어려워진 ‘불국어’

수능 불국어에 망했다


수능 난이도에 대한 신문 기사의 제목들이다. 불국어를 뛰어넘어 마그마 국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났다. 무엇이 국어를 이렇게 어렵게 하는가?


수능 난이도에 대한 신문 기사의 제목들이다. 불국어를 뛰어넘어 마그마 국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났다. 무엇이 국어를 이렇게 어렵게 하는가?

국어에 대한 두려움을 없앨 수만 있다면...?

아주 먼 옛날 수능 시험을 보던 내게 해주고 싶은 말이다. 수능시험을 여는 1교시에 배치되어 있는 국어는 나에게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지금은 아니지만 내가 수능을 보던 시절에는, 영어 시험처럼 국어에도 듣기 평가가 있었다. 분명히 나는 한국어 네이티브 스피커인데 왜 국어듣기평가를 하면 스크립트가 귀에 들어오지 않았을까?

국어는 당연히 어렸을 때부터 많은 책을 읽고 어휘 학습을 한 학생에게 유리하겠지만, 책을 많이 읽었다고 해서 반드시 수능국에서 1등급을 받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단기간에 성적향상이 어려운 국어이기에 미리미리 준비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이제 곧 중학교에 입학할 자녀를 둔 나로서는 정말 읽고 싶었던 책이 아닌가 싶다. 우리말이니까 왠지 쉬울 것 같으면서도 조금만 파고 들어가면 너무도 어려운 게 사실인 우리 국어를 어떻게 공부 시킬지 때로는 너무 막막하였기 때문이다. 그런 국어에 대한 수학능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만점 공부법이라니 제목만으로도 무척 탐이 나는 책이 아닐 수 없다.

현직 중학교 교사가 저자인 이 책은 현재 중학교 국어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학, 문법 등 전 국어영역에 대한 체계적인 공부법을 여러 예문과 함께 다루고 있다. 인상 깊었던 점은 챕터별로 들어가는 글에서 중학교 교육과정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소개해 준다는 것이다. 목적지를 알고 길을 가면 헤매지 않을 수 있다.


중학교 교육과정 이야기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읽기 영역의 성취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 편의 글을 읽어내는 독서 경험을 바탕으로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을 아는 능동적인 독자를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p. 74


구체적인 용어 설명과 함께 실전 문제와 해설을 함께 다뤄주기 때문에 학습 적용과 내용 이해가 한결 용이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독서교육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첫째 훑어 읽기의 단계, 둘째 질문하기 단계, 셋째 읽기 단계, 넷째 되새기기 또는 암송하기, 다섯째 복습하기의 여러 단계가 있다는 사실은 독서라면 단순히 그냥 ‘읽는 것‘ 이라고 생각하던 나에게 상당히 신선한 지적 충격을 선사해 주었다.

이 책을 통한 다양한 국어 교수법과 수학법은 자녀 국어 교육에 있어서 뿐 아니라 자녀가 국어 수업을 받음에 있어서도 훌륭한 지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만 읽고 끝낼게 아니라 어서 아들 책상에 올려놓고 주말에 한번 읽어 보라고 적극 권해 봐야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증정 받아 솔직한 리뷰를 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