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답은 우주에 있다
사지 하루오 지음, 홍성민 옮김, 전국과학교사모임 감수 / 공명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에서 과학 토론 대회가 심심치않게 열린다. 어디서부터 준비해야 할까? 평소에 과학에 대한 호기심이나 관심이 많아 독서가 충분했다 할지라도 과학 토론 대회에 나가서 말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다. 일상 생활에서 과학과 관련된 대화를 해본적이 없기 때문이다. 


과학과 관련된 대화를 나누거나 토론을 하려고 하면 일단 낯설고, 주변에서 이상하게 생각하는건 아닌지 재미없다고 하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된다.


그러나 과학은 일상과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다. 가정에서 아이들과 과학기술을 주제로 토론하고 싶다면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문답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 책을 보며 아이들과 대화를 나누기에 좋다. 

  우주는 무한할까, 유한할까? 집에서 토론이 벌어졌다. 나는 당연히 무한하다고 생각했는데, '우주가 끝이 없고 무한한 곳까지 무수한 별들이 흩어져 있다면 밤하늘은 별빛으로 가득 차 대낮처럼 밝아야 한다'고 제기한 의문을 보고 상당히 그럴 듯 하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의 사고는 나보다 훨씬 더 유연했다. 이런 이야기거리들을 제공하는 것이 이 책의 매력인 것 같다.


파장을 사람의 보폭으로 알기 쉽게 비유해서 맑은 날에 하늘 전체가 파랗게 보이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신기루 교수는 학생상담실장으로 학생들의 진로, 연래, 인간관계, 정체성 붕괴 등 다양한 고민을 들어주고, 온갖 문제를 우주의 생성, 세상의 섭리와 연결해서 알기 쉽게 설명해준다. 

산타클로스는 실존할까? 이 질문은 물리로 설명할 수 있다. 산타가 나이를 먹지 않는 것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고속으로 세계 곳곳을 돌아야 하는 산타의 시간은 그 흐름이 느려진다. 아이들과 토론해볼만한 재미있는 주제이다.

   여성은 '귀의 생명체' 남성은 '눈의 생명체'라고 규정짓는데, 아기를 키우는 역할이 있는 여성이 갓난아기의 울음소리만으로 아기가 배가 고픈지 몸이 안 좋은지 판단해야하기 때문에 여성의 청력은 남성보다 뛰어나다는 것이다. 그것이 동시통역 분야에서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이 활약하는 이유라고 한다.

   내가 지금 보고 있다고 생각하는 상대의 모습이 과거 모습이고, 그래서 같은 방향을 보는 것이 사랑이라는 해석도 흥미로웠다.

   우주를 통해 과학 상식은 물론이고 갖가지 인생 고민에 대한 해결을 해주는 신기루 교수님의 이야기를 잘 들어보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증정 받아 솔직한 리뷰를 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