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의 언어]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음식의 언어 -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인문학 음식의 언어
댄 주래프스키 지음, 김병화 옮김 / 어크로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식 레스토랑에 가면 으례 패턴이 있는데, 나는 그 패턴에 익숙하지 않아 곧잘 당황해한다. 메뉴를 보고 고르며 에피타이저를 먹고 메인 메뉴를 기다리는 과정이 나에게는 어색하다. 메뉴의 종류도 다양하고 언어도 현란해서 은근히 긴장한다. 그러면서 패턴을 꼭 따라야 교양있는 것인가라는 의미없는 반항심이 일기도 한다. 물론 요즘은 일반적인 식사를 끝내도 꼭 디저트를 챙겨먹어 할 말이 없긴하다. '식사를 하면 아이스크림이나 커피는 꼭 마셔야지!'

 

그런데 궁금하다. 내가 가지고 있던 반항심이 정말 잘못된 것일까. 왜 일정한 패턴으로 서양음식을 우리는 먹는 것인가. 음식의 제목과 언어들은 어디서 온 것일까.

 

이 책은 이러한 음식에 대한 '왜'라는 질문이 가득차 있는 책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무심히 넘겼던, 갖가지 이름붙여진 음식과 일상적 관례가 되어 있는 패턴에 신비한 언어가 덧씌워짐을 말하고자 하는 책이다. 우리는 음식을 먹으면서 무의식적으로 언어로 말하고 있음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전체적인 책의 구조는 식사의 순서에 따라 전개된다. 메뉴고르기부터 생선코스, 에피타이저, 메인 메뉴, 디저트에 관련한 순으로 전개된다. 음식에 대한 다양한 에피소드가 흥미를 끌긴 하지만 읽으면서 좀 삐딱해진다. 그 까닭은 우리 문화와 맞지 않는 서양 음식 일색으로 이야기소재에 낚인 느낌이다. 육류로스트나 앙트레, 칠면조 이야기는 개인적으로 별로 흥미롭지 않다. 오히려 내가 지금 매일 먹는 고추장,된장 이야기, 각종 나물과 국 이야기등이 더 흥미가 있을 수도 있다. 나는 영국의 피시앤드칩스가 무엇인지모르고 맛보았을 때도 관심도 없었으며 먹을 일이 없어서 더더욱 별로 알고 싶지 않다!

 

물론 앞에서 이야기한 음식의 패턴과 유래 그리고 명칭등을 알아가는 호기심을 충족시켜 주는 재미도 일정부분 담보한다,. 케찹은 발효생선에서 왔다거나 터키(칠면조)의 명칭이 포르투칼 인의 광신적 신비주의와 연결되어 있다거나 하는 점이 그렇다. 무엇보다도 음식의 전달 과정이 세계 정치 경제 흐름과 맞닿아 있고 그러하기에 음식을 통해 문명의 충돌과 그 양상을 다루어 볼 수가 있어 그리 확 눈에 들어왔던 책은 아니었으되, 버리기도 애매한 책이 아닐까 한다.

 

덧붙임.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물론 솔직한 리뷰이기도 하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