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렇게 세 딸을 하버드에 보냈다
심활경 지음 / 쌤앤파커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렇게 세 딸을 하버드에 보냈다'를 읽어 보고

싶었던 이유는 우리 아이들을 하버드에 보내기 위한 팁을 얻기 위한

마음보다는 어떻게 재력이나 사교육 없이

하버드에 세 딸들을 보낼 수 있었는지 궁금한 마음이 커서 읽어보게 된 책이에요.

저도 세 아이를 키우고 있는 엄마이기에 저자가 어떻게

세 아이들을 키워냈는지 선배맘의 노하우를 알고 싶더라고요.



이 책에서 저자는 자신을 지극히 평범하며 특별한 구석이라고는 하나도 없지만,

교육자로서 가진 재능은 '아이 안에 숨겨진 보물을 발견하는 것'이라고 말해요.

그러면서 아이마다 성향이 다르니 아이마다 다른 만큼

부모의 대응도 달라야 한다는 걸 알려줘요.

저도 세 아이를 같은 배에서 낳아서 키워오고 있지만,

아이마다 성향이 다르다는 걸 확실히 느끼면서

아이들을 키워오고 있어요.

이 책의 저자이신 심활경님이 아이들을 키우신 이야기들을 책으로 읽어 보니 마냥 평범하기만 한 어머니는 아니신 게 느껴지더라고요.

가족 안에서의 원칙은 확고하게 지키고, 인내심을

가지고 아이들을 키워내신 결과, 세 아이들을

유명한 하버드에 들어갈 수 있게 만든 밑거름이 아닌가 싶었어요.



부모는 아이의 재능을 발견하는 최초의 사람이라고 해요.

아이의 재능을 발견하기 위해서 저자는 아이들에게

다양한 자극을 주고 그 반응을 통해서 아이를 파악했다고 해요.

아이가 관심 있어 하는 걸 배우고 싶어 할 때에는

왕복 2시간이 걸리는 거리도 아이를 위해서 운전해서

아이를 데려다주고, 데려다 오기를 반복했다고 하는데요.

저자와는 전혀 다르게 행동했던 제 지난날들이

아쉽더라고요.

저는 아이가 셋이다 보니 개개인을 챙겨줄 수 없다고

생각을 해서 아이들이 무료로 누릴 수 있는 수업도

일부러 신청을 하지 않는 방식을 택했거든요.

이게 모두를 위한 거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책을 읽고

보니 그 반대로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더라고요.

그래도 이제는 알았으니 우리 아이들 개개인을 위해서도

특히나 엄마가 할 수 있는 노력은 꼭 해야겠다 다짐하게 되었어요.

부모로서 아이가 경험해 볼 수 있는 건 최대한 많이

누릴 수 있도록 해줘야겠다 싶더라고요.

부모가 주는 자극으로 아이는 경험의 범위가 넓어지고,

생각하는 폭이 깊어질 테니 제가 부모로서 해줄 수 있는

자극이나 긍정적인 표현들에 좀 더 신경을 써야겠더라고요.

부모는 가지고 있는 긍정의 메시지를 아이에게 끊임없이

전달해야 한다는 저자의 말에 뜨끔하더라고요.

둘째, 셋째와는 달리 첫째에게는 부정의 메시지를

많이 전달하지 않았나 하는 반성을 많이 하게

되었어요.

첫째니까, 동생들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커 보이는

아이라서, 첫째가 제일 잘해서 동생들의 본보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첫째에게 좀 더 엄하면서도 긍정의 대화보다는 부정적인 말들을 많이 하지는

않았었나 하는 생각을 많이 해보게 되더라고요.

유순한 아이라서 엄마의 모진 말에 상처를 받거나

자존감이 낮아지지는 않았을지 걱정을 하면서

앞으로는 아이에게 좀 더 힘이 되는 말과 격려로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키우고 싶단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책에서는 아이를 대하는 부모의 태도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유아동 시기, 초등학생 시기, 중학생 시기,

고등학생 시기, 세 딸이 경험한 하버드 이야기 파트로

나누어서 자세한 경험담과 노하우를 알려줘요.

저는 유아동과 초등 아이들을 키우고 있어서 유아동

시기와 초등 시기가 지금 당장에 와닿는 시기이긴

했지만, 그 외의 시기들도 흥미 있게 읽어 보았어요.

이 책을 읽어 보면 아시겠지만, 저자가 담담히 써 놓은

경험담과 그 속에 부모라면 배우고 싶은 점들이

같이 녹아져 있고 재미가 있어서 이 책을 읽는 시간이

저에게는 힐링 타임으로 느껴지더라고요.

가족들이 모두 잠든 밤에 혼자서 이 책을 읽어 내려가는

밤 시간이 정말 좋았어요.

목회 공부를 위해서 미국으로 가게 된 저자의 남편을

따라서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녹록지 않은 환경과

비주류 사회 계층이라는 환경 속에서도 세 아이들을

훌륭하게 잘 키워낸 저자와 저자의 남편이 정말 대단하신

분들이란 생각이 들더라고요.

부모의 태도가 일관적이고 바른 삶을 사는 모습을

보여 주니 그러한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부모보다

더 뛰어난 아이들로 성장한 건 분명하다 싶었어요.

그리고, 미국 문화를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된 내용들도

흥미롭더라고요. 미국의 밤샘 파티는 한 친구의 집에

친한 아이들끼리 모여서 어울리고 밤새워 노는 시간을

뜻하는데, 이 밤샘 파티가 초등학생 때부터 고등학생이

될 때까지 이어진다는 게 참 놀랍더라고요. 이렇게 문화가

달라서 생기게 되는 고민 속에서 저자와 저자의 남편이

슬기롭게 대처해서 아이들을 키워낼 수 있었던 인내심이

정말 대단하다 싶었어요.

어찌 보면, 같은 한국에 사는 엄마가 아니고 미국에서

생활하는 가족이니까 우리보다는 쉽게 세 아이들을

하버드에 보낼 수 있었던 게 아닐까라고 생각하거나

우리와는 맞지 않는 생활 환경이라 단정 짓고 이 책을

펼쳐볼 생각을 안 하시는 분들도 계실 거 같은데요.

이 책을 읽어보면 어떠한 부모와 아이들의 노력이

있었는지를 알게 되고, 그 결과 누구나 말하는 명문대인

하버드에 들어갈 수 있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더라고요.

꼭 하버드에 들어가지는 않더라도 어떤 생각과 행동이

최선을 다하는 부모인지를 생각해 보게 하는 책이었어요.

저자는 말해요. 최고의 자녀는 없다고요. 단지 최선을

다하는 부모가 있을 뿐이라는 말에 마음이 와닿더라고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