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 대한민국 30대를 위한 심리치유 카페 서른 살 심리학
김혜남 지음 / 갤리온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저자는 30대를 염두에 두고 이 책을 썼다.

하지만 이 책은 곧 서른이라는 '불안한' 사회적 범주 구성에 들어갈 20대들도 읽으면 좋을 듯하다.이미 30대가 된 사람들보다 아직 30대가 되지 않은 서른 즈음에 자신의 삶에 대해 다시 한번 큰 고민을 하고 방황을 하게 되는 제 2의 사춘기가 찾아온다면 말이다. 특히 변변찮은 직업이 없는 백수이거나 고정수입이 없는 20대, 직장이 있더라도 '88만원세대'의 범주에 들어가는 20대라면 서른 이후의 삶은 흐리멍텅하고 생각하면 암담하기만 할 것이다.  

저자는 그러한 요즘 젊은 세대의 심리를 꽤뚫고 있는 듯하다. 그래서 저자는 미래를 위해 마시멜로를 모이지 않고 현재의 쾌락(?)을 위해 사랑에 있어서 쿨하게 생각하는 젊은 세대들의 심리에 대해 풍요속에 성장했지만, 미래의 풍요를 확신할 수 없어 끊임없이 불안에 시달리며 희망을 꿈꾸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심리라고 분석한다.

지금 2,30대 세대는 전지구적 금융위기의 한파로 인한 긴축경제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그때문에 그들은 미래의 자신들의 삶에 대한 밑그림을 그리고, 시행착오를 거쳐 자신에게 맞는 삶의 패턴을 '선택'할 경험을 하지 못한 채 책상에 앉아 취업준비에 매달린다. 이렇게 삶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할 기회를 모두 반납한 채 무방비 상태에서 30대가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30대의 그들은 내면의 어린아이의 심성을 다스리지 못해 불안해하고, 미래를 대비하고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무엇이든 하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들 세대는 서점에서 쏟아지는 자기처세서들을 잡고 있지만, 이러한 처세서들은 준비되지 않고 확실하지 않은 우리들에게 '문제는 너희 자신에게 있다'라고 몰아대며 우리를 더욱 조급하게 할 뿐이다.

그렇다고 정신분석학자인 저자가 88만원세대처럼 청년 불안의 사회구조적인 원인에 대해 조목조목 분석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책이 문제가 우리 외부에 있다라고 말하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이 책이 다른 자기처세서와 다를바가 있는가?

한 가지 분명히 다른 점은, 저자는 성공을 위해 미래의 안정을 위한 방법들을 나열하면서 우리를 채찍질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저자의 편안한 글쓰기 방식은 이 책을 읽는 것 자체만으로 쫓기는 듯한 강박에서 벗어나 어느 정도는 '치유'의 느낌의 받게 한다. 한 친구는 쉬는 시간에 조차 영어동영상 강의를 듣지 않으면 죄를 지은 것처럼 느꼈었는데, 이 책을 읽고나서 그 시간에 보고싶었던 영화를 보는 등 조금은 여유를 갖게 되었다고 한다.

저자는 단순히 성공하라고 이야기 하지 않는다. 다급하게 지금이라도 꼭 결혼하라고 말하지도 않는다. 그보다 30대가 되면 가능한 현실과 불가능한 꿈은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고 충고한다. 그렇지만 진정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고민해보고, 자기 정체성을 확고히 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마지막 결론 부분은 빠졌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앞에서 이야기한 내용이 무색하게도 마지막에는 다른 처세서처럼 마음먹으면 성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30대에도 사랑과 결혼에 있어서도 인생의 '단 한명의' 진정한 동반자를 만날 수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꼭 결혼하라고 강요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이성애적 가족이라는 견고한 틀을 유지하고 싶어하는 듯하다. 오히려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세상은 커플이라는 이성애적 관계로 묶인 단 한명의 동반자에게 의지하는 관계보다, 남녀를 불문한 다양한 관계망을 통해 불안의 요소를 조금씩 줄여갈 수 있을 것이다. 억지로 희망을 주기 보다(노력하라 그러면 성공할 것이다라는)는 현실을 직시하되, 지금 살아갈 힘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가능성의 틈을 보여주는 것이 낫지 않은가 생각해본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세련된' 비전의 자기처세서로 봐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