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년 - 여자로 태어나 미친년으로 진화하다
이명희 지음 / 열림원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오랜만에 괜찮은 책이 나왔다고 지인의 추천으로 이 책을 읽게 됐다...

지인이나 나나 주변 사람들한테 또라이 소리 꽤나 듣고 있는 판이고 그런 소리를 특이성에 대한 긍정으로 받아들이다가도 때로는 정말 내가 미친건가 생각하고 자괴감에 빠져 있던 찰라 이 책을 만나니 어찌나 반갑던지.

책이 오자 한명씩 아껴봐야지 하는 생각으로 머리 맡에 두었다. 이 책을 보면 나의 고민이 조금은 해소되지 않을까 인생에 한줄기 빛이 내리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해보면서...

그러나 나는 두 번째 글로리아 스타이넘부터 읽기가 피곤해졌다. 인터뷰한 사람의 주장과 스타이넘의 서구 중심주의(?) 둘 모두 때문에 피로감이 왔고, 아 책에서 뭔가 답을 구하는건 한계야 한계 라는 생각을 또 다시 하게 되었다. 페미니즘은 몸으로 부딧치는 문제지 책만 읽고 이래라 저래라 하는 것으론 답이 안나온다는 생각을 다시 해보게 되었다.

책을 읽으면서 내내 인터뷰하고 정리한 글쓴이의 주관이 질문에 지나치게 녹아들어가 있고, 글쓴이가 질문을 지나치게 의도하고 던지는 듯해서 불편하기까지 했다. 물론 이 책이 미친년의 구술생애사는 아니니까 이것저것 다 질문하는 것도 문제가 있겠지만 내내 여러 사람의 생각이 짬뽕이 되서 정리가 안되고 혼란스럽달까...

그리고 이 사람들과 내 삶을 비교해 보면 이 사람들은 이미 글로벌 우먼이구만 나는 지역에서 오도가도 못하고 못 박혀 있는 신세... 이 사람들은 참 똑똑하구나 그리고 자신이 가슴 뛰는 대로 멋지게 사는 사람들이구나. 그렇지만 여자들이 다 그렇게 살 수 있는 건 아닌데... 약간의 거리감 마저 들었다. 새삼 여성들의 차이에 대한 감수성이 필요한 시대라는 생각도 다시 해본다.

그나마 내가 좋아하는 현경 인터뷰 부분에서는 마음이 뻥 뚤리는 듯 했으나 이것도 그저 현경이 쓴 "미래에서 온 편지" 같은 책을 읽는게 더 낫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도 이 책에서 건진건 묘지스님과의 인터뷰 내용이었다. 묘지스님에게서 인생을 살아보고 고민해 본 사람의 지혜가 느껴졌다. 그리고 그 삶에 대한 의지가 다른 누구보다 강렬했고, 실제적으로 와 닿았다. 아마 이건 내 주관이고 읽는 사람마다 각각의 미친년들이 다르게 와 닿지 않을까 생각한다.

쓰다보니 역시 주저리주저리 불만이 많았다. 그러나 신선한 느낌, 기존에 미친년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부수고 생각을 달리 해서 이 단어를 긍정적인 의미로 해석하는 발상들은 충분히 이 책의 매력이 아닌가 한다.

저자가 앞으로도 미친년들을 많이 발굴해주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