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백년 전 악녀일기가 발견되다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6
돌프 페르로엔 지음, 이옥용 옮김 / 내인생의책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충격과 경악을 금치 못하는 책 이라 하겠다.

수리남의 노예제도의 폐해를 14살 소녀의 일기를 통해서 저자는 어찌보면 무덤덤하게 담담하게 풀어내고 있다.

 실제로 일어난 일을 바탕으로 쓴 이야기들은 읽고있노라면 순간적인 패닉상태에 빠진다.

너무나도 태연하게 노예를 사고파는 현장의 묘사, 노예에 대한 무차별한 학대,  성적사유물이 된 노예 
네덜란드의 신민지였던 오늘날의 수리남, 그속에서 대규모 농장을 하는 농장주의 외동딸인 마리아. 마리아는 생일선물로 채찍과 노예 꼬꼬를 선물 받는다. 그리고 맘에 안든다는 이유로 노예시장에서 꼬꼬를 되판다.

새로 들어온 노예 올라가 있다. 올라는 임신을 했고, 올라의 아이는 마리아에게 "그것"이라 불리운다. "그것"의 태생은 마리아가 좋아하던 옆집 루까스의 자식인것이다.

 

이 책엔 누구도 노예를 옹호하지 않는다.어느 누구도 노예제도에 대해 반발하지 않는다.
그저, 그 시기에 부유층이 돈을 주고 노예를 부리는게 있는자의 여유처럼 있는자들에겐 하나의 관습이었을지도 모른다.

14살, 언제 가슴이 봉긋해질까만 생각하는 철 모를 마리아에게도 마찬가지였을것이다.

 우리가, 우리가 문방구에서 불량식품을 사먹고 터벅터벅 집에와서 엄마에게 배가 고프다고 찡얼댐과 마리아가 노예들을 부리는 일은 다름이 없다.

그것이 그저 당연한 일이라 생각되어지기 때문이다. 나만이 아닌 주변에서도 노예를 부리는 일은 아주 일상적인 일이기때문에 옳고 그름의 판단조차 할 수 없는 노예제도 자체는 이제 마리아의 일상인것이다.

 이렇게 14살 소녀의 일상적인 기록에서, 그리고 한치의 망설임과 죄책감없는 14살 소녀의 말투속에선  비극적인 노예의 실상이 엿보인다. 

 백인의 우월감,그저 피부색이 다름으로 그들은 "인간" 이하의 그저 돈으로 사고팔수 있는 "물건"으로 취급받고 '물건"들은 그들의 인권에 대해선 아무런 반발도 하지않은채 그들의 숙명이라 생각하고 살아가는 그 현실.

 어찌, 이보다 더 잔혹할 수가 있단 말인가. 아무런 죄의식없이 사람이 사람을 돈으로 사고팔 수 있었던 과거의 역사 그 과거의 역사속엔 마리아라는 한 악녀가 있었다.

그리고 그 악녀의 일기는 200년 후인 지금 우리에게 경악감과 혼란을 주고있다.

 그때 그 시대적 상황을 지금에와서 어떻게 생각하고 받아들여야 할까.....
가슴이 그저 답답해져 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