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도둑 가족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76
고레에다 히로카즈 지음, 장선정 옮김 / 비채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영사서포터즈 3차 미션도서로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장편소설 <좀도둑가족>을 읽었습니다!

소설을 읽기 전에 영화 '어느 가족'을 먼저 알게 됐는데요, 그 영화의 원작이 바로 이 <좀도둑가족>입니다. 영화는 제71회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어요. 아직 영화를 보지 않았는데, 소설을 읽고 나니 활자로만 상상했던 가족이 영상으로 구현되면 어떤 모습일지 궁금해져 상영이 끝나기 전에 꼭 보러 가기로 결심했습니다.

 

<좀도둑가족>은 그동안 읽었던 미션도서 중 가장 빠르게 읽은 책이지만, 가장 오래 여운이 남은 책입니다.

 

 

258쪽의 책의 목차는 이렇습니다. 

 

책은 제목대로 어느 좀도둑 가족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하지만 이 가족은 특별합니다.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이 아닌 선택으로 뭉친 가족이기 때문입니다. 가족이란 보통 이미 정해진 사이라는 관념이 강해서 인간의 의지가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거의 없어 보이는데요, 이들은 진짜 가족을 잃거나 그들로부터 버림받거나 그들을 떠나와 가짜 가족의 구성원이 되기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이야기는 어딘가 전형적인 가족의 모습과는 먼 이 가족에게 한 소녀가 구성원으로 합류하며 동네 사람들의 시선에선 알 수 없는 그들의 속 깊은 사정을 다룹니다. 인물들이 가족으로 형성되기까지가 기승전결의 구조를 이루지 않아서 책을 읽는 것은 '이 가족의 시작은 어디서부터였을까'의 궁금증을 풀어가는 과정이었습니다각 가족 구성원의 개인사를 알게 되면서 한 사람 한 사람 애정이 가는 작품이었어요.

 

가족이란 만들어질 수도 있는 것_

사실 이들은 '가족이 되자!'라고 해서 모인 관계는 아니었습니다. 어쩌다 보니 같이 살게 됐고, 남들이 볼 때 노인과 중년의 남성과 여성, 젊은 여자와 아이 둘은 가족 구성원으로 보기에 의심할 여지가 없었기 때문이죠. 이들에게 공통점이 있다면 모두가 상처를 지닌 존재란 것인데요, 그 상처는 보통 함께 살았던 진짜 가족으로부터 받은 것이었습니다. 그 상처를 다시 받고 싶지 않아 함께 사는 서로에게 기대하거나 책임을 지는 부담을 가지지 않을뿐더러, 그건 성가신 일이라고까지 말하는 사람들이지만 함께 하면서 각자의 상처를 치유해나갑니다

 

이 아이를 안고 안기는 것만으로, 자신을 구성하는 세포 하나하나가 변해가는 것이 느껴졌다.”(136)

 

이 사람들을 보며 가족이란 것이 진짜가 있고, 가짜가 있을 수 있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들을 둘러싼 사회가 가족을 바라보는 잣대가 '진짜는 혈연으로 이어진 가족'이고, '가짜는 선택에 의한 가족'이라면 그런 구분은 어디까지나 사회의 편의를 위한 구분일뿐입니다. 소설에서도 인물들의 이름은 진짜가 아닙니다. 그러나 이 사회가 만들어낸 법과 제도, 언어와 같이 편의를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내 약속한 기호 같은 것들로는 정의할 수 없는 것도 분명 있으니까요. 진정한 가족의 의미는 유전자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이 된 이들이 서로를 어떤 존재로 생각하는지에서 찾아야 하는 것 같습니다. 사회에서 이들을 부르는 이름 '가짜 가족'이 진짜 가족보다 더 '진짜' 가족으로 보이니까요.  

 

세상에 단둘이 있는 것 같았다. 내내 함께 있으면 좋을 텐데. 쇼타는 생각했다”(251)

 

아빠, 아저씨로 돌아갈게_

선의의 의도로 행한 일이 꼭 좋은 결과를 보는 것이 아니듯, 이 사회가 '구제' 또는 '구원'이라고 생각한 절차가 과연 그 아이들을 위한 것이었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나 또한 그 가족에 대해 겉으로 드러난 것만을, 수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증거들만을 수집했다면 수사관 미야베처럼 생각하고 분노하지 않을 거라 자신 있게 답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가족의 해체라는 결말로 드러난 분명한 사실은 사회가 이상적이라 생각했던 원상복귀가 개인들의 이상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었습니다. 그건 갈 곳을 잃어 방황하는 아키나 다시 멍이 든 린, 혼자가 된 오사무의 모습으로 충분히 알 수 있었습니다.

 

좀도둑가족의 결말이 행복한지 아닌지는 개인의 판단에 달린 것 같습니다. 사람 사는 세상에 정해진 답이 없듯이 이야기의 경우의 수는 수만 가지도 더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우리가 사는 세상에선 이게 가장 그럴듯한 결말이라고 작가는 결론을 내린 듯합니다. 하지만 가족을 바라보는 관념의 변화가 책을 통해 이뤄졌다면 또 다른 이야기의 결말은 이미 만들어졌을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