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골 소방관 심바 씨 이야기
최규영 지음 / 김영사 / 2023년 4월
평점 :

심바 씨 안녕하세요.
시골 소방관 심바 씨 이야기 잘 보았습니다. 이 책을 보면서 가장 큰 틀로는, 소방관도 직장인이고 우리 이웃 사람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는 왜 그동안 소방관이라면 당연, 으레 시민들을 도와주고 꼭 무언가 도움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였을까요? 이 자리를 빌려 사과를 하고 싶습니다.
심바 씨가 책을 내겠다고 하니 선배 소방관이 "소방관을 영웅으로 미화시키는 글은 쓰지 말아라."라고 하셨다는 부분을 딱 박아두고 시작하셨지요. 안 그래도 되셨어요. 전혀 그래 보이지 않거든요.
보통 사람 심바 씨로 보이더라고요. 소방관도 불 앞에는 무서워하고 위태로울 수 있는 한 인간으로요. 그런 마음도 좀 알아달란 뜻인 거 맞지요?!
힘든 근무를 마치고 브런치 작가로 글을 쓰고 참 멋진 분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도 언젠가 제 이름으로 된 책을 내고 싶은 한 사람으로 심바 씨의 이야기는 그런 의미에서 특별하게 와닿았습니다.
일반인은 알지 못하는 세계, 특수 공무원직 소방직의 이야기를 잠깐이나마 엿볼 수 있어서 그들의 애환을 조금이나마 공감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아마 소방청에서 심바 씨에게 감사패는 못 줘도 '수고했다' 정도는 해줘야 하는 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소방관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고 노고를 알 수 있는 시간이었으니까요.
심각한 현장에 다녀오고선 어떻게 살까 보다 어떻게 죽을까에 대한 생각을 할 수밖에 없는 모습, 한 치 앞도 보이지 않은 화재 현장에서 무릎을 꿇고 손으로 바닥을 더듬으며 요구조자를 찾는 모습, 혹시 있을 생존자를 위해 나의 위험에 더 무게를 실을 수밖에 없는 모습, 그 모든 모습들이 소방관의 무게가 아니었나 싶었습니다. 또한 인간 심바 씨의 무게로도 보였고요.
시골 소방관 심바 씨의 이야기란 제목을 보고 처음에는 가벼운 책인 줄 알았습니다. 보통 에세이가 무거운 소재보다는 가볍고 유쾌한 이야기가 많아서 그렇게 생각했나 봅니다.
소방관의 이야기겠거니 했는데 소방관 이야기는 맞았습니다. 그러나 소방관의 이야기만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심바 씨가 현장에서 생사를 보고 엮어낸 이웃들의 이야기라는 것을 아는 데는 얼마 걸리지 않았습니다. 30페이지도 넘기지 않아 눈물이 나고 읽기가 조금 힘들었어요.
가슴이 저리고 코가 시큰한 게 슬픈 소설을 읽은 것도 아닌데 마주하기 힘든 인생사들이 보였습니다. 그래서 책을 잠깐 덮어 두었습니다.
다시 읽기까지 시일이 걸렸습니다. 아직 남은 페이지가 많은데 초반부터 눈물을 빼니 마주하기 힘든 현실이 뒤에도 계속 이어지는 게 아닌가 잠깐 겁도 났거든요.
그렇지만 저 또한 심바 씨처럼 나름 용기 있고 따뜻한 사람이라고 자부합니다. 그래서 다시 책을 들고 한자씩 읽어 내려갔습니다.
다행히 그 이후 눈물은 아주 잠깐씩만 났어요. 유쾌하고 마냥 즐거운 책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슬프고 우중충한 분위기도 아니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말이 있습니다. 배우 유해진 씨가 했던 말인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에요. 이 문구가 생각나는 심바 씨의 이야기였습니다.
남원은 시골이 아니지요. 맞습니다, 그런데 왜 시골 소방관이라고 칭하였을까요? 동료 소방관의 말이 맞는 것 같은데요. 곧 스타벅스도 들어선다니 도시가 맞은 듯합니다.
그렇다고 정말 이름을 변경하진 말아주세요. 정감 있는 시골 소방관 심바 씨가 참 잘 어울립니다.
때에 따라 순간순간 다른 모습으로 변신하는 소방관들의 모습이 약간 시골 청년 홍반장의 모습도 오버랩되는 것이 정감 가는 '시골'이란 단어 빠지면 섭섭합니다.
소방관으로 지내면서 가장 보람찼던 순간은 언제이냐는 질문에, 보람을 강요하는 하는 것이 아닌지 생각 들 때가 있었다고요. 참, 솔직힌 답변입니다.
저도 생각해 보았습니다. 엄마로서 아이를 키울 때 가장 보람찬 순간이 언제인지 묻는 질문으로 바꿔보자 심바 씨와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매일 하는 일(엄마는 애들 밥 먹이고 씻기고 똥 닦이고 재우는 일, 소방관은 과장 조금 보태서 이 세상 모든 사건사고를 담당하지요)에 보람이라니 그런 건 없잖아요.
시골 소방관 심바 씨 이야기에도 적혀있습니다. 엄마로서는 사명, 희생, 책임 이런 것은 아기가 뱃속에 있을 때 이야기지요. 소방관은 소방공무원 시험을 준비할 때 이야기이고요.
몇 년을 하다 보니 뭐 이런 일까지 해야 하나 현타가 올 때가 많다고 책에서는 이야기합니다.
그런 것 보면 소방관이 극한 직업임이 확실히 맞습니다. 그래서 죄송한데요, 시골 소방관 심바 씨 이야기를 보면서 소방관의 애환을 보고 앞으로는 소방관을 응원해야겠다는 생각도 하였지만 한편으로 내 아이가 한다면 과연 응원할 수 있을지 의심도 들었습니다.
특히 연기로 자욱해 앞도 보이지 않는 화재 현장에 산소통 매고 들어가 무릎 꿇고 바닥을 더듬으며 생존자를 찾는다는 것에 크게 한대 얻어맞은 기분이었거든요.
'그렇게까지 한다고?'
앞이 안 보이는 상황이라면 본인 또한 위험하다는 것인데 그 위험 속으로 바닥을 짚어가며 있을지 없을지도 모를 사람을 찾는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그 정도의 현장이라면 누구라도 소방관 탓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할 수도 없고요.
본인의 안전이 확보되어야 요구조자의 안전도 보장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시골 소방관 심바 씨의 이야기를 보면서 위험에 맞서는 모습은 상상하기도 무서웠습니다.
똑같이 누군가의 아버지이고 누군가의 귀한 자식입니다. 앞으로는 무리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실제 현장의 모습이라니 정말 아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일을 무서워하지도 후회하지도 않는다고 심바 씨는 말하고 있습니다.
옷에 피 묻히는 작업을 후회하지 않는다. 무서워하지도 않는다. 내 몸에 묻은 피가 짧고 강렬하게 피고 졌던 한 인간의 꽃잎이라고 생각하면 더럽지 않다. 죽은 사람의 얼굴이 꿈속에 나올까 겁내지도 않는다. 내가 그의 마지막 모습을 담은 사진기라 생각하면. 피 묻은 방화복은 더 이상 섬뜩하지 않다.
<시골 소방관 심바 씨 이야기> 중에서
우리나라의 모든 심바 씨들을 위해 우리가 할 일을 알게 해주는 대목이 있습니다.
목수가 될 수도 있고, 산악인이 될 수도 있다고 심바 씨는 말합니다. 그 모든 결정권은 시민들의 요구로 이루어진다고요.
그렇다면 우리는 정말 필요로 하는 순간의 사람들을 위해 불편함은 조금 감수하는 것이 어떨까요?
사람의 목숨이 왔다 갔다 하는 현장에 심바 씨 같은 고급인력을 양보하고 소, 돼지 잡고 개 쫓는 일은 우리가 해봅시다. 가축 모는 실력도 키우고 심폐지구력도 키우고요. 더불어 나 혼자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책임감도 키우고 말이지요.
오늘은 시골 소방관 심바 씨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소방관이란 직업이 참 애환이 깊네요. 저라면 두 손 두 발 들고 도망갈 것 같은데요, 심바 씨 같은 사람이 있어 참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더불어 이 자리를 빌려 말씀드리고 싶네요.
심바 씨, 고맙습니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