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림은 낭비가 아니다 - 삶의 불확실성, 인생의 공백
마크 브로갑 지음, 정성묵 옮김 / 두란노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다림은 낭비가 아니다.

기다림은 왜 낭비가 아닌가?

여기서 먼저 점검할 것은 책에서기다림의 기준과 목적과 목표가 다르다는 것이다.


자기개발 시장에 강사로 활동하면서 기다림보다는 압축된 시간에 효율적으로 일하고

묶음을 시간을 통해 나의 성장을 위한 무엇(여기엔 휴식도 포함이다)을 한다.

쉼도 계획이고 일정이다.

그렇다면 기다림의 시간은 낭비가 맞다.


그런데 <기다림은 낭비가 아니다>라고 말한다.

어떤 기다림이 낭비가 아닌가.

저자는 성경 속에서 '기다림'과 관련된 말씀을 찾아 

어떤 기다림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해 이야기 한다.

성경의 말씀 안에서 오랜 기다림도 있고 찰나의 기다림도 있다.

그 기다림을 어떻게 응하였는지에 따라 결과는 달라진다.

<기다림은 낭비가 아니다>는 단순히 다시 오실 예수님을 기다린다는 의미에

머물지 않는다.

삶의 순간, 우리가 멈짓하게 되는 그 순간에 우리가 하나님의 뜻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

이야기 한다. 신앙인의 삶이란 하나님의 응답을, 뜻을 깨닫길 기다리는 삶이기도 하다.


<기다림은 낭비가 아니다> 속 저자의 이야기를 통해 '나는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나는 기다릴 수 있는가' '나는 기다리고 있는가'를 묻는 시간이었다.

세상의 기다림과 신앙의 기다림은 그 기준이 다르다. 

세상의 기다림과 신앙의 기다림은 반응이 달라야 한다.

세상의 기다림과 신앙의 기다림은 결과가 다르다.


책의 목차가 참 재미있다.


1 묵묵히,                           기다립니다
2 자주,                           기다립니다

저 긴 언더바를 보고 있노라면 어떻게 기다려야하는지 채우고 싶은 욕구가 든다.

그리고 이 책의 말미즘에 오면 나에게 기다림은 무엇인지 답하고 싶어질 것이다.


나에게 기다림은 은혜이다.

당신에게 기다림은 무엇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