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쓴맛 햇살어린이 43
심진규 지음, 배선영 그림 / 현북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직의 쓴맛]



새학기가 시작되었다.

설렘반 기대반으로 한 학년이 올라가고 아이들 따라 엄마들도 함께 학년이 올라갔다.

우리반 친구들은 어떤 아이들일까?

우리 선생님은 여자선생님 이실까? 남자선생님이실까?
이런저런 궁금증을 안고 학교를 들어설때의 설레임~

엄마 역시도 올 한해 좋은 선생님 만나 아이가 학교생활을 재미있게

하는것이 바램일것이다.


그런데 조직의 쓴맛이라.....

즐겁고 재미있어야 할 학교가 조직이라고? 도대체 쓴맛은 무엇일까?







유치원보다 훨씬 긴 방학, 빨리 끝나는 학교 시간,

예쁜 선생님을 기대하며 학교에 갔던 주인공 찬은 입학식날 만난

담임선생님을 보고서는 자신의 기대와는 다른 모습에

실망하고 학교에 가기 싫어한다.


게다가 글자 배우고 손들고 발표할 줄 알았던 학교에서

선생님은 하루종일 '똥'이야기만 하신다.

그리고 내일 부터는 똥을 누고 나서는 자신의 똥을 확인하고 오라고까지

말씀하신다.

 







똥 잘 누는것과 학교생활이 과연 관계가 있을런지...

정말 선생님은 아이들을 웃길려고 똥 이야기를 하신것일까?


아니다.


선생님은 똥이 있어야 흙이 튼튼해지고 식물, 동물도 잘 자라고

그래야 사람도 잘 자란다고 말씀하셨다.

선생님은 우리가 지나치는 작은 소중한 것들에 대해

말씀하시는것 같았으며 그 소중한것은 아끼고 보살필때

큰 빛을 발한다는것을 알려주시는것 같았다.

 







아마 책을 읽다보면 지금의 - 내가 알고 있는-  교육방식과는 조금 다른

선생님의 교육방식을 볼수 있을것이다.

선생님께서는 이르는 아이에게는 친구가 걱정이 되었구나?

라는 말로 다시한번 생각할 기회를 주셨고

운동장에 나가서 주변에 있는것들을 살펴보고 그림을 그리고

명칭이 무엇인지 써봄으로써

쓰기공부와 받아쓰기 공부를 대신하였다.



 






하지만 현실은...

아이들은 숙제없고 공부라고 생각하는 공부가 없는 학교가 좋았지만

찬이반 엄마들은 아이들과는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 이게 현실이다.




찬이는 받아쓰기가 없어서 학교가 좋아지고 있으며

선생님께서 장난하는 아이들에게 주는 이상하고 재미있는 벌이

있어서 더욱 더 학교생활이 즐거워지고 있었다.


그리고 친구마음을 아프게 하는 나쁜 행동을 하는 친구에게는

바로 '조직의 쓴맛'이라는 벌이 주어진다.

선생님이 주시는 조직의 쓴맛이라는 약을 먹고서는 3분동안

참아야하며 게다가 지독한 쓴맛이 있지만 물까지 마시면 안되는

완전 끔찍한 '조직의 쓴맛'






 



하지만 이런 수업방식을 과연 학부모들이 찬성하고

선생님을 믿고 선생님께 아이들을 맡길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학교로 찾아온 엄마들, 선생님의 응급실행, 몇몇 아이들의 배탈사건..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거치며

학교로 선생님을 오게 해달라는 아이들의 소원은 과연 이루어질까?








획일적인 틀 안에 갇혀져 모두 같은 것을 배우고

주어진 과제를 열심히 하는것만이 행복한 학교의 조건일수는 없다.

학교는 친구들을 사귀고 사회생활에 필요한

여러가지 것들을 공동체 속에서 함께 이해하고 배우는 곳이어야한다.

그리고 그 속에서 경쟁과 협동을 통해

성취감도 느끼고 이해심, 배려심을 배우는것이다.


학년이 올라갈때마다 아마 아이들과 학부모들은

올해는 어떤 선생님이 우리 담임선생님이실까? 라는 똑같은 궁금증을

갖고 있겠지만

내가 바라는것은 단 하나!

아이들의 장점과 개인차를 인정해주는 선생님을 만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