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의 이야기꾼 전기수 징검다리 역사책 3
정창권 지음, 김도연 그림 / 사계절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이한 책장수 조신선이라는 책을 몇 달전 재미있게 읽었던 적이 있지요. ‘거리의 이야기꾼 전기수’ 책으로 같은 작가의 글을 다시 읽을 수 있어서 기대가 되었답니다.

이런 책을 통해서 우리가 모르고 지나쳤던 옛날의 직업들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현재 우리가 사는 세상과 비교해 볼 때 옛날에도 다양한 일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 같아요.

옛날에도 책을 사서 읽고 싶은 사람에게 파는 사람도 있고, 재미있는 우리 이야기를 사람들에게 재미있고 신명나게 들려주는 전기수라는 직업이 있었다는 것을 말이죠.

전기수는 거리에 사람을 모아 놓고 소설을 읽어주는 사람을 말합니다. 아이들 교과서에도 전기수에 대한 내용이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그런지 더욱 호기심을 가지고 전기수에 관한 이야기에 푹 빠지네요.

옛날에는 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 적고 사는 것이 힘들고 가난하여 책을 사보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지요. 하지만, 조선 후기에 서민들이 점차 한글을 알게 되고,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게 되지요.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사람들에게 재미있게 책을 읽어주는 사람이 세상의 관심을 받게 되었나 봅니다.

전기수들은 책을 읽으며 다양한 목소리와 행동을 흉내를 내어 사람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상상의 세계를 펼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때로는 춘향이가 되고, 심청이가 되면서 같이 슬퍼하고 기뻐했답니다. 용감한 임경업 장군이 되어 나라를 구하기도 하면서 백성들과 하나가 되어 이야기를 이끌어 갔지요.

고단한 백성들의 삶을 재미있는 이야기를 통해서 해소해 주고 즐거움을 주는 사람이었기에

많은 백성들이 즐기고 더 찾았나 봅니다.

이 책에 소개된 이자상도 조선 후기 사람으로 중인이지만 전기수라는 직업에 매료되어 많은노력을 했답니다.

이 책의 주인공을 통해서 조선시대의 전기수들이 어떻게 생기게 되었고, 주로 어느 곳에서 활동을 하였는 지 알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조선 후기 생활상과 문화를 엿볼 수 있어 아이들이 조선시대 생활상과 문화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네요.

그리고 조선시대 백성들이 전기수가 읽어준 여러 가지 소설을 통해서 그 나라의 역사적 상황을 배우면서 시민 의식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아울러 우리나라 문학이 발달하는 계기에 큰 역할을 했다는 것도 알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