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노을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82
이희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서평] <보통의 노을>: 평범하게 산다는 것은

 

 

 

1. 이 책의 줄거리는 이러하답니다.

 

이 책은 <페인트>의 작가 이희영님의 최신 작품이다. <페인트>에서 자녀가 부모를 면접한다는 새로운 접근법을 보여준 작가는 <보통의 노을>에서 평범하게 산다는 것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 물음을 던진다.

 

열 여덟살인 최노을은 서른 네 살의 최지혜의 젊은 엄마의 아들이다. 열 여섯에 미혼모가 된 지혜는 노을을 낳고 세상의 편견과 싸우며 아들을 멋지게 키워내고 있다. '지혜공방'이라는 엑세서리 샵을 운영하며 알뜰하게 살아간다. 노을은 젊은 엄마 덕분에 일찍 철이 들었다. 배달은 하지 않는 중국집에서 주말 아르바이트를 하는데 그곳은 바로 친구 성하의 집이기도 하다.

 

노을은 자신의 보호자로서의 아빠가 아니라 막연히 엄마를 보호해줄 남편이 필요하다고 느끼던 터에 성하의 오빠가 엄마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는 엄마보다 여섯 살이나 어리다. 둘이 서로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노을은 보통으로 산다는 것, 평범하게 산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다른 한편 노을은 친구 동우가 자신을 사랑한다고 고백한다. 동우의 가슴 설레임이 단지 여자가 아니라 남자가 아니라 바로 노을이었다는 것이다. 동우의 성정체성을 알게 된 노을은 동우를 밀어내지 않고 그냥 친구로 이해하는 성숙함을 보여준다.

 

2. 이 책을 읽으면서 이런 것을 알게 되었어요.

 

이 소설은 우리가 얼마나 보통평범이라는 편견 속에 살고 있는지 돌아보게 한다. ‘평범하게 살고 싶어요.’ 또는 보통 사람들이라고 편하게 말하는 것들 속에 어떤 것이 평범하고 보통사람처럼 사는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사실은 편견으로 만들어진 것일지 모른다.

 

<평균의 종말>이라는 책이 평균에 대해 인간이 얼마나 허상을 갖고 있는지 지적한 적이 있다. 평균을 정하고 그 이상과 이하를 구분하는 것 자체가 바로 차별이다. 그 사물이 가진 고유성을 인정하는 것, 그 나름의 가치를 그저 바라봐 주는 것이야말로 앞으로 우리가 다양성을 추구하는 사회에서 꼭 필요한 태도라고 보여 진다.

 

 

3. 이 책을 읽다가 다음과 같은 생각, 느낌이 들었어요.

생각해 보니 어디 평범하지 않은 게 사랑뿐일까 싶다. 솔직히 보통이나 평균이라고 딱 꼬집어 말할 수 있는 삶도 없지 않을까. 인생이 무슨 동일한 모습으로 우뚝 선 아파트도 아니고. 아니지 요즘 아파트는 겉만 똑같을 뿐 내부는 천차만별이잖아. 아파트도 이러할진대 하물며 사람들의 삶에 무슨 평균을 따질까. (p. 126)

 

요즘 들어 평범함이나 보통, 평균 같은 단어들이 자꾸만 머릿속을 맴돈다. 생각해 보니 내가 엄마와 열여섯 살 차이? 옛날이라면 전혀 문제 되지 않았다. 그때는 스물 살이 되기 전에 결혼했고 아이도 빨리 낳았으니까. 과거에는 당연시되었던 것이 지금은 비정상이 됐다. 지금은 아무 문제없는 일들이 과거에는 커다란 이슈가 되었던 것처럼. 지금은 해괴하다 생각하는 것들이 미래에는 당연시될지 누가 알겠는가? (p. 142)

 

세상은 점점 더 평범함과 보통을 잃어 갔다. 평균으로 삼아야 할 것도, 기준으로 내세워야 할 법칙도 시나브로 무너져 내렸다. 덕분에 다행일 때도, 때문에 불행할 때도 있었다. 더 이상 학벌로만 성공할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 그러나 가정을 이루고 아이를 낳을 수 있는, 과거엔 평범한 삶이라 말했던 삶 역시 쉽게 꿈꿀 수 없게 되었다. (p. 144)

 

평범보통의 기준이 변하고, 때론 사라지고 있다. 그것이 다행일 수도 있고, 불행일 수도 있을 것이다. 자율성, 고유성을 중요시하는 사회로 변화하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상식이 통하지 않는 사회가 되는 것은 어쩐지 불안하다. 그런데 상식이란 보통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이 아니던가. 점점 자신의 목소리만 중요하다고 외치면서 다른 사람의 외침에는 외면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면 그 사회는 어떻게 될까?

 

 

4. 책 속의 문장에서 이런 것을 새롭게 발견하게 되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그런 것 같아. 그냥 요철이나 장애물 없이 잘 닦인 고속도로 위에 오르는 것. 좋은 대학 나오고 취업에 유리한 학과 졸업해서 대기업에 취직하는 거. 몇 살쯤에 결혼하고 아기는 몇 살에 낳고 집은 언제 사고, 이미 시뮬레이션까지 완벽하게 끝낸 삶을 그냥 따라가는 거. 다른 길 볼 것 없이 잘 닦아 놓은 고속도로로 무조건 진입해. 그게 가장 안전하고 빨라. (p. 144)

 

스위치를 누르자 하얗게 빛이 쏟아져 내렸다. 저 산 너머에 무엇이 있는지 알고 싶다면 반드시 정상까지는 올라가야 한다. 산마루에 섰을 때 기대에 못 미치는 풍경이 펼쳐질지, 아름다운 장관이 기다릴지는 아무도 모를 테니까. 오직 그 정상에 도착한 사람만이 알 수 있다. 지금은 그저 한 걸음 한 걸음에 집중해야 했다. 미리 염려하거나, 과한 기대 역시 좋지 않을 것이다. (pp. 165~166)

 

고속도로가 빨리 달릴 수 있지만 잘못 들어섰을 때는 빠져 나올 수 없다는 것을 아는가. 만약 잘못 들어섰을 때, 다음 톨게이트까지 갔다가 돌아오려면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그렇다고 해서 목적지로 가는 방향이 아닌 도로를 계속 달릴 수는 없지 않은가. 그래서 인생은 속도가 중요한 게 아니라 방향이 중요한 것이다.

 

등산을 할 때 힘들어서 중도에 포기하면 정상에서 마주하는 바람을 느낄 수 없고, 풍경을 바라볼 수 없게 된다. 그렇다고 모두가 다 히말라야 정상에만 도전하자는 것은 아니다. 주변에 얼마나 산이 많은가. 자신에게 알맞은 코스를 선택하고,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산을 찾아 정상에 오르면 된다. 정상에 오르기 위해서는 한 걸음 한 걸음 내디뎌야 한다. 결국 그 한 걸음이 모여 정상으로 가는 길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5. 추천사

 

 

이 책은 청소년 도서이다. 그렇지만 어른들에게도 평범하게 산다는 것’ ‘보통으로 산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다시금 생각해 보게 해주는 책이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료로 제공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