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가 되어 줄게 ㅣ 문학동네 청소년 72
조남주 지음 / 문학동네 / 2024년 6월
평점 :
소설은 상상이고 픽션이다. 그러면서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아니라, 독자를 설득할 수 있는 개연성이 살아 있어야 한다.
이 소설은 그 상상력이 얼마나 자유롭고, 구체적인지 알려주고 있다. 소설을 읽는 재미가 생겨나는 그런 소설이었다.

작가 조남주는 그동안 여러 소설을 완성하여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특히, <82년생 김지영>은 영화로 만들어졌을 뿐 아니라, 사회적 반향까지 불러온 소설이기도 했다.
이 소설은 딸과 엄마의 이야기다. 딸이 부탁한 하얀 맨투멘 티셔츠를 빨래를 해 놓지 않은 엄마에게 투정을 하게 되고, 엄마는 내가 빨래를 하는 세탁소니, 가정부니 하면서 갈등이 시작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2023년 중학교 1학년 딸과 1993년 중학교 1학년이었던 엄마가 서로 시간 여행을 통해 각자의 삶으로 들어가 1주일을 살면서 벌어지는 일과 그때 느꼈던 경험을 담았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영화 '인터스텔라'가 생각났다. 영화에서는 아버지와 딸이 마주친 장면이 있었지만, 이 소설에서는 딸은 엄마의 과거로 돌아가 이모와 할머니, 그리고 엄마 친구들을 만난다. 그러면서 엄마를 더 잘 이해하게 된다.
또 엄마는 2023년의 중학생 1학년이 되어 딸의 친구들을 만나면서 딸 윤슬의 어려움과 마음을 더 잘 알 수 있게 된다.
소설을 읽다보면 엄마와 딸의 마음이 모두 이해가 된다. 특히 1993년의 중학교 생활을 디테일하게 잘 표현하여서 잘 스며들 수 있었다.
맞아, 그때는 그랬지. 1993년에는 체벌이 있었고, 성적이 공개되었고, 쌤들의 권위가 무서웠을 때였지.
지금에서 보면 어처구니 없는 일들이 그때는 당연하다는 듯이 일어났던 일이 얼마나 많은가.
그만큼 우리 사회의 문화 수준과 의식 수준이 발전했다는 생각이 든다.
“시간이 과거에서 미래로만 흐르는 건 아닌 것 같아. 미래의 일 덕분에 과거가 다시 이해되기도 하고, 현재가 아닌 미래를 기준으로 선택하기도 하고. 사람들은 사실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동시에 살고 있지.”(p.113)
“나이를 먹으니까 앞으로 일어날 일들을 알게 되더라고. 예지력이 생긴다는 게 아니라, 테이터가 쌓이고 재조합되면서 과거의 일들뿐 아니라 미래의 일들도 그냥 알게 돼. 의미를 몰랐던 일들을 뒤늦게 깨닫고 나면 과거 어느 지점에 멈춰 있던 시간이 다시 흐르기도 하고.”(p.113)
우리는 시간을 과거에서 미래로 흐르는 직선적인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이처럼 시간이란 과거, 현재, 미래가 함께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런 지점을 소설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야기 하고 있다는 것이 참 좋았다.
엄마와 딸이라고 해서 매순간 좋을 수는 없다. 다른 인간 관계보다 더 때론 별것 아닌 일에도 감정이 상하기도 하고, 또 말한마디에 기분이 좋아지기도 하는 관계다.
이 책을 읽으면서 딸과의 감정이 상해서 속상했던 에피소드를 많이 떠올릴 수 있었다. 그랬던 딸이 어느덧 직장인이 되어 근사한 선물을 하고 큰 용돈을 내미는 딸이 되었다.
이 책은 자녀와 같이 읽었으면 좋겠다.
사춘기 아이들을 이해하고 싶어하는 부모나, 지금 막 사춘기를 통과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모두 사랑을 받을 수 있기를!
이 책을 읽는다면 서로 이해하는 간격이 더 좁아질 수 있지 않을까?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료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