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퓨처 - 로봇이 바꾸는 우리의 미래
일라 레자 누르바흐시 지음, 유영훈 옮김 / 레디셋고 / 201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번 서평미션 도서는 <로봇 퓨처>입니다.

이 책을 선정한 이유는 제가 공대생이기도 하고

표지도 아기자기하게 예뻐서 고르게 됐어요

그리고 미래예측도서도 좋아하구요


저자는 일라 레자 누르바흐시라는 

카네기멜런대학의 로봇공학 교수입니다.

대학에서 연구소를 이끄는데 주로 교육과 

사회적 로봇, 사회 활동 권한을 부여한 

로봇 기술을 연구를 하고 계십니다.


SF영화를 보면 대부분 전투로봇이죠

물론 다른 장르의 영화에선 다른 로봇이 나오지만 

제가 전쟁과 액션영화를 많이 봐서 로봇하면 전투로봇

이미지가 떠오르네요


하지만 저자는 민간 분야 특히 사회공헌 로봇을 

중심으로 연구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아주 평화를 중시하는 바람직한 기술을 연구하고

계시네요


그래서 책에서도 로봇의 미래에 대해서

기술에 대한 설명 뿐만 아니라 윤리, 철학, 

제도 심지어 인간의 가치관 변화까지 예측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단계별로 2030년 부터 2231년까지 

로봇이 발전 하면서 생기는 문제를 예상하여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1장 새로운 대중 사회에선

로봇이 사회와 개인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일을 하여 마케팅과 홍보, 정치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리고 개인정보유출 등의 

문제도 예측하고 있습니다.


제2장 로봇 스모그에선

수많은 DIY로봇 개발자들이 생겨 

다양한 로봇들이 통제할 수 없이 많아져

사회가 혼란스러워 진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향후 20년의 로봇의 발전을 

설명하면서 인간-로봇의 상호작용을 중시하게 

되면 극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제3장 로봇의 탈인간화입니다.

탈인간화는 쉽게 말하면 로봇의 노예화입니다.

로봇에게 대하는 폭력적인 태도가 다른 인간한테도 

무례하게 폭력적으로 변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그러면서 미래에는 윤리의 기준이나 가치관 등이

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제4장 주의력 희석 장애

흔히 ADD라고 하는 주의력 결핍 장애를 빗댄 말이라고

합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업무를 동시에 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정보과잉으로 인간관계가 불필요하게 

넓어지면서 삶의 질이 나빠진다고 합니다. 외부적으로 

도달범위가 넓어지지만 중심과 균형을 맞추어 주는

주의력 자체를 상실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제5장 브레인스포팅은

아직은 막연하고 허구에 가까운 두뇌 교환 기술입니다.

한 사람이 두 개의 몸에 접속을 하여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기술까지 예견하는데 여기는 쫌

소름돋고 무섭습니다.


저자는 로봇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이 겪는 각종 문제들을 

예측하면서 대비할 것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로봇기술이 개인의 이익보다 공익적 가치를 위해 

개발될 수 있도록 하여 공동체가 스스로 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합니다.

 

특히 인간성을 절대로 잃어버리지 않기를 강조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