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사진관
김정현 지음 / 은행나무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친구를 위해서 친구가 살았던 내용을 고스란히 소설로 담아낸 작가 김정현의 마음이 지금도 아릿하게 저며 온다.

 

주인공 용준은 제대를 앞두고 아버지가 뇌졸중으로 쓰러진 후 아버지를 이어 예식장과 사진관 일을 맡아 하게 된다. 시대가 바뀌어서 모두 디지털화되었는데도 용준은 옛날 방식의 사진관을 고집한다. 그것은 고집이라기보다는 아버지에 대한 존경이고 과거에 대한 굳센 버팀이라고 할 수 있다.

 

친구들은 용준을 부러워하지만 정작 자신의 꿈을 접은 채 살아가야 했던 용준은 무거운 고민 속에 살아간다. 아버지는 결국 17년 만에 돌아가시고, 그는 묵묵히 한 가정과 유업을 이어나간다.

 

소설 <아버지> 이후 역시 이번에도 ‘아버지’에 대한 존재의 가치를 새삼 일깨워 주고 있다. 늘상 써먹어 왔던 용어들이 나오고 평범하기 그지없는 대화들 속에서, 정말 평범한 우리 이웃의 얘기를 듣는 듯한 편안한 분위기에서 책은 한 달음에 다 읽어 버렸다.

 

한 인간이 가정을 꾸미고 아이를 낳고 부모를 잃고...하는 과정을 가감 없이, 여과 없이 진솔하게 밝혀 간 흔적으로 인해 나도 잠시 잔잔한 감동의 물결 속에서 헤맨다.

 

나도 용준처럼 살 수 있을까? 책을 읽는 순간마다 이런 질문을 던지곤 했다. 그만큼 그의 삶은 순수했고, 도대체 이런 인물도 있을까 하는 궁금증을 주기도 했다.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했을지 모르겠지만 나는 용준의 삶이 오히려 부러웠다. 고향에 가면 늘 거기에 늘 그 모습으로 있던 ‘고향 사진관’ 같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가게와, 평범하기 그지없는 삶, 그리고 성실하게 부모 형제 자식의 뒷바라지를 하면서 사랑과 행복이 넘치는 가정을 꾸려가다가 죽는다는 것. 이 사이클이 가장 인간다웠고 부러웠다.

 

사실 요즘의 삶은 얼마나 힘들고 각박한가. 오죽했으면 길 가는 어떤 사람을 불러 놓고 그가 살아온 내력을 들어본다면, 소설로 쓰지 않고는 못 배길 만큼의 이야기가 나온다고 했겠는가.

 

기실 우리네 인생은 용준의 그것처럼 별 것이 없는 것이다. 하지만 그 별 볼 일 없는 일상 속에서도 사랑과 행복을 찾아내고, 아련한 추억으로 생각해 낼 줄 알면서 산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이던가.

 

나도, 어찌 되었든 간에 희순과 같은 여자와의 사랑을 해 보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