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그곳에 집을 지어 살고 싶다 - 강원·경상·제주편 22곳 살아생전에 살고 싶은 곳 44 1
신정일 지음 / 창해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많은 사람들이 귀농을 하고 있다. 바쁜 도시속에서는 자신을 찾을 여유를 느낄수 없고, 오히려 층간소음등 다른사람과 부대끼며 스트레스만 얻고 있는 셈이다.

그러다 보니 강원도나 전라도 혹은 제주도 등에서 한달살기 1년 살기 등을 통해 귀농을 직 간접적으로 느끼거나 은퇴이후, 자신의 고향이나 시골등지에 집을 지어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

신정일 작가의 이번 나는 그곳에서 집을 지어 살고 싶다 라는 책도 그러한 최근의 트렌드 속에서 나온 저작이다. 물론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집터에는 이미 선조들이 집을 지어 살고 있는 경우가 많거나 다른 문화재가 이미 있는 사례들이 많았다. 그만큼 선조들도 그 터가 좋은 곳임을 알고 있다는 방증이 아닐까 싶었다.

책의 전반적인 포맷은 유홍준 교수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와 비슷하다. 집터의 전반적인 풍광을 설명하고, 그 집터와 관련된 과거 이야기들이 있으면 그것을 해설해주면서 지명과의 연관성을 풀어준다. 그리고는 그 집터에서 살았던 선조들의 이야기들을 추가적으로 해주면서 한 지역지역이 끝이난다.

이번 책은 강원도 경상도 제주도 편으로, 아마 다음 챕터는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이 될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한국영화중에 명당이라는 영화는 풍수지리적으로 좋은 무덤을 쓰기 위해 펼쳐지는 암투를 그린 작품이다. 조선시대에 조상의 무덤은 어디에 쓰느냐가 왕조의 명맥을 이어가게 하기도 하고 그것을 끊기게도 하였다. 그뿐만아니라 일본은 우리나라의 명맥을 끊겠다고 백두대간 이곳저곳에 쇠말뚝을 꽂기도 하엿다.

사람이 공간을 만들기도 하지만 공간도 사람에게 영향을 준다는 건축학의 격언이 있다. 단순한 공시지가와 숫자와 경제학적 관점에서의 눈으로 공간을 보기보다는 실질적으로 살기 좋은 곳이 무엇인지에 대해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