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교하는 엄마 기다리는 엄마 - 올바르고 참된 엄마가 되기 위한 엄마 공부법
홍미경.김태광 지음 / 베이직북스 / 2012년 9월
평점 :
[베이직북스] 비교하는 엄마 기다리는 엄마
비교하는 엄마 기다리는 엄마 제목만 듣고서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과연 나는 아이에게 어떤 엄마인가.....
저는 솔직히 말하면 비교하는 엄마가 되기 싫지만 현실은 그러고있는 엄마랍니다. ㅠ.ㅠ
기다리는 엄마가 아이한테 좋다는건 알지만...현실은 사실.........
그래서 더 좋은 엄마가 되고파서 이 책을 열심히 읽어봤답니다.

제목부터가 벌써 많은 엄마들의 가슴을 뜨끔하게 하죠~
저도 이 책 제목을 보는순간 그랬답니다.
비교하는 엄마 기다리는 엄마 이 책은 제목만으로도 저에게 강한 임팩트를 주었답니다.

책을 오픈하면서 만나게된 서문의 제목부터가 저의 가슴을 쿵쾅!!!
아이를 망치는 비교하는 엄마가 되지 말자!
정말 내 아이를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안고 키우겠노라 다짐을 했지만
사실 키우다보면 은근슬쩍 비교하게 되더라구요.
근데 그게 아이를 망치는 길이었다니.....반성하게 되었답니다.

제 1장은 모든 아이는 태어날때부터 천재다 라는 큰 주제를 담고있답니다.
저도 백지설을 믿는 입장이라 이말에 완전 동감하는데요.
아이들은 각자 가지고 태어난 재능이 다른 천재라는 생각이 든답니다.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에 의하면 각 지능을 다 가지고 태어나지만 각자 보이는 능력에 따라 그 사람의 성향이나 능력이
달라진다고 보는 그런입장?
그러므로 아이들은 저마다 다 천재의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고봐요!

1장의 소제목들만 좀 봐주세요!
정말 눈에 확확들어오는 주제들과 내용들이죠~
저자는 엄마의 입장에서 궁금한 내용들을 속시원히 책내용에 담아주셨더라구요.

제 2장은 비교하는 엄마가 아이를 망친다는 주제를 담고있답니다.
아이를 키우게되면 꼭 범하게되는 일인데 이런 일때문에
우리 아이에게 나쁜 해가 간다고 생각하니 정말 조심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아이를 누군가와 비교하게되면 그 아이는 자존감도 낮아지고
스트레스를 극심하게 받게되며 그 아이의 생활도 불행해진다고 말하고 있답니다.
그리고 형제간에 비교하는것도 서로에게 도움이 되기보단 형제간의 사이가 나빠지거나
위축되는 경향을 가져올 수 있다고해요.
역으로 비교당하는 엄마라고 생각해보세요~
기분이 좋을리가 없겠죠?

제 3장은 좋은 엄마 콤플렉스가 엄마와 아이 모두를 망친다 라는 주제를 담고있답니다.
사실 엄마라면 누구나 아이에게 좋은 엄마가 되고싶어하는데
그게 콤플렉스로 작용해서 아이에게 부담을 준다면 그것만큼 나쁜건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자신이 하지 못했던것들을 아이에게 대리만족 시키려 하는것도
아이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엄마만을 생각한 이기적인 행동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엄마가 행복해야 아이도 행복해질 수 있다는 말에 전 200% 공감한답니다.
또한 저자는 엄마가 아이의 선생님이 되어 가르치기보다는 아이의 실수도 보듬어주고
공감할 수 있는 역할이야말로 엄마의 역할이라고 말하고 있답니다.
또 한가지 워킹맘들이 가지는 아이와 오랜시간 함께 하지 못해 드는 죄책감 같은건 갖지 말라고도 이야기 하고 있어요.
아이들과 함께 오랜 시간 같이 있다고해서 그게 다 교육적이고 득이 되는 시간이라고 볼 수는 없답니다.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 적더라도 그 적은 시간동안 엄마가 아이랑 어떻게 함께해주느냐에 달린
양보다 질의 문제라고 본답니다.

제 4장은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믿고, 참고, 기다리기 라는 주제를 담고 있답니다.
우리가 누군가를 그대로 인정하기란 참 쉽지 않은일인데요,
아이는 아직 미성숙한 존재이기에 엄마들은 그 아이들을 인정하고 기다려 줘야 한다고 말하고 있어요.

아이가 관심있어 하고 좋아하는 것에 귀기울여주고 함께 해주는것 이야말로
아이를 행복하게 키울 수 있는 길이랍니다.
그리고 아이가 타고난 재능중 가장 좋아하는것을 더 잘 할 수 있게 옆에서 도와주는 조력자 역학을
해주는것도 엄마의 몫이라고 봅니다.

제 5장은 공감하는 대화가 바르고 긍정적인 아이로 키운다 라는 주제를 담고 있답니다.
부모와 대화를 단절한채 살아가는 아이들도 많은데 그렇지 않게 하기위해서는
부모가 아이의 말에 귀기울여주고 공감하는 태도를 보여야 한답니다.

일단 자녀와 대화하기 위해서는 자녀의 말을 끊지말고 끝까지 들어주는게 중요하답니다.
그리고 아이의 입장에서 그 말을 생각해보고 공감하며, 경청해주고, 허용적인 태도를 취하는게 좋답니다.
그리고 문제가 발생했을땐 함께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는것도 중요하답니다.
또한 부모가 잘못한 일이 있으면 아이에게 사과하는것도 잊어서는 안된답니다.
부모가 잘못한 일에 대해 사과하는 모습을 통해 아이는 또 한가지를 부모를 통해서 배우게 된답니다.
비교하는 엄마 기다리는 엄마라는 책을 읽으면서
그동안 내가 너무 조급하게 아이를 키우진 않았나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한다고 한것들중 저의 욕심을 채우기위한 것들도 있었던것 같고
반성도 하게되고 더 좋은 육아를 하는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될것 같답니다.
사랑하는 내 아이를 위해 이제 더이상 비교하는 엄마가 아닌 기다리는 엄마가 될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