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갔을까? - 세시 풍속 신기방기 전통문화
정윤경 지음, 최선혜 그림 / 분홍고래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갔을까?>



 

 


우리 엄마 세대들은 많이 들었던 말입니다

특히나 겨울철에 말이지요

이제 소한 대한이 올 날이 얼마 남지 않았네요


예전부터 소한에 추위가 찾아오면 저런 말씀을 엄마가 항상 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저희 어머니 세대에서는 24절기를 외우기까지 하셨더라구요

그러나 지금은 그런것까지 순서를 외우고 있진 않지요


하지만 절기가 무엇을 뜻하는 지는 알고 있는게 어쩌면 당연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이 책은 비단 24절기에 관해 알려주는 책이 아닙니다

우리나라 전통 세시풍속에 대해

관련된 모든 것을 계절별로 월별로

모두 알려주고 있어요


지금은 많이 사라진 세시풍속들을 여기서는 모두 다루고 있어서

아이들이 사라진 풍속들도 모두 배울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 전통에 관한 책이다 보니

그림들도 고전스럽습니다

 

 

 

 


떡에 관련된 부분이예요

떡과 관련된 속담과 월별로 먹었던 떡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저도 들어보지도 못하고 먹어보지도 못했던 떡이 참 많네요


옛날에는 먹을 게 흔치 않고

아이들 간식거리가 많이 없었기 때문에

이런 떡을 먹는 날이 얼마나 즐거웠을까 상상도 해봅니다


저희 어렸을때는 바나나가 너무 귀해서

사기도 힘들었지만

먹기도 힘들었었지요

저도 초등학교때 겨우 딱 한번 먹어봤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지금은 흔하디 흔한 과일이 바나나지요

다른 제철과일은 철이 되어야 먹을 수 있는 반면에

바나나는 사시사철 수입해서 먹을 수 있으니

지금 세대들은 이런 세시풍속과 더 멀어질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긁어부스럼 만든다는 말도 왜 생겼는지 알려줍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 엣생활과 관련된 것들이 많을텐데

옛날만큼 병치레를 많이 하지 않는 아이들이

이런 말이 어떻게 유래되었는지 알 수 없겠지요

 

 

 


지금은 추석과 설등의 큰 명절만 쇠고

나머지는 뉴스에서나 나오는 풍속과 절기들

옛날엔 농사를 짓고 살았기에 절기가 매우 중요했고

우리나라 고유의 날씨에 맞춘 양력기준의 절기입니다


 


소한추위가 더 추울때가 많은데

왜 소한과 대한이라고 이름을 만들었을까요?

지금 생각해보니 의아스럽습니다

그 옛날에는 소한과 대한의 추위가 말의 뜻과 동일했던 걸까요?


요즘 아이들은 초등 중등을 막론하고

전통 세시풍속과 절기등에 관해서 잘 모르고 있지요

하지만 엄마가 일일히 다 찾아서 알려주기도 사실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대한이는 왜 소한이네 집에 갔을까?>는

아이들에게 전체적으로 모두 알려주기 때문에

엄마로서는 너무너무 감사한 책이네요


책을 읽고 겨울 절기부터 알아봐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