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애의 도시 이야기 - 12가지 '도시적' 콘셉트 김진애의 도시 3부작 1
김진애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진애의 도시이야기]

12가지 도시적 콘셉트




저자 김진애는 알쓸신잡과 김어준의 뉴스공장으로

일반인들에게 친숙해진 인물입니다


저는 라디오는 듣지 않았지만 알쓸신잡에서 접했지요

제일 기억이 나는 김진애의 에피소드는 로마편이었습니다


로마의 건물양식과 광장에 대한 설명을 하시는데 

역시 도시에 대한 전문가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건축학을 전공하신 분답게 역사적인 건축에 대해서도 박학다식하시고

도시가 만들어지는 역사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는데

저자 김진애의 진가를 드러내는 편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아직 그 기억이 남아 있어서 이번에 만나게 된 <김진애의 도시이야기>는 굉장히 기대가 많이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모르는 저자의 책보다는

알고 있는 저자의 책이 관심을 더 불러일으키겠지요

그동안 저자는 여러편의 책을 냈는데

저는 이제서야 한 권을 만나보게 되었네요


 

<김진애의 도시이야기>는 도시를 12개의 컨셉으로 나누어 설명을 한 책입니다

어떻게 도시를 12개의 콘셉트로 나누었을까?

그리고 그 콘셉트에 맞는 도시들을 각각 찾을 수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지만 그것은 저만의 기우였습니다


아무래도 도시에 대해 아는바가 없는 비전공자인 저같은 일반인은

생각할 수 없는 도시와 공간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져 있습니다


차례의 12가지 콘셉트는 다음과 같아요

모르는 사람들의 공간 : 익명성/권력과 권위/기억과 기록

감이 동하는 공간 : 알므로 예찬/대비로 통찰/스토리텔링/코딩과 디코딩

머니 게임의 공간 : 욕망과 탐욕/부패에의 유혹/현상과 구조

도시를 만드는 힘 : 돈과 표/진화와 돌연변이

이렇게 12개의 콘셉트로 나누어 도시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첫번째 장에서는 역사적으로 도시가 발생한 것과 광장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보통 아시아보다는 서양에서 광장이 발달하게 되는데

같은 나라의 광장이라도 도시적 성격에 따라 광장의 성격도 달리 된다고 하네요

권력의 상징인 청와대와 백안관 이야기도 등장합니다


두번째 장에서는 역사적인 화성과 도시 복원으로 인한 역사적 스토리텔링에 대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세번째 장에서는 아파트단지에 대해서 말하면서

단지가 조성되면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것들에 대해서 논해봅니다

단지가 조성되면 좁은 골목길보다는 큰길이 들어서고 그렇게 되면

프랜차이즈 같은 큰 상점이 들어설 수 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골목상권이 들어설 수 없는 점점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정말 그런것 같은 생각이 들어요


마지막 장에서는 지금 현실인 도시의 양극화 현상에 대해서 눈에 들어옵니다

누군가 일부러 만들지 않았지만 벌어지는 양극화 현상

달동네와 신도시

누구나 신도시에 우아하게 살고 싶어하지만 모두 그럴 수는 없는 현실


도시이야기를 읽으면서

도시 전문가인 김진애는 그저 도시를 사랑하고 도시에 얽혀진 이야기를 

풀어내는 도시전문가답다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책을 쓰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생각을 피력하고

읽는이로 하여금 자신의 생각을 풀어내서 설득하려고 할텐데

저자 김진애는 그저 도시이야기를 풀어내고

사람들에게 이런 일도 있고 저런 일도 있으며

그렇게 도시는 만들어지고 유지되며 또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네요


도시에 대한 새로운 사실도 알게 되고

도시에 대해 새롭게 생각을 전환하게 된 계기가 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