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만찬 -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서철원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후의 만찬]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장



 

 


제목부터 심상찮습니다

누구나에게 익숙한 <최후의만찬>

제목을 들으니 생각나는 것인

첫째,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이라는 그림

둘째, 로버트 랭던이 주인공인 댄 브라운의 다빈치 코드라는 책


이렇게 누구에게나 익숙하지만 유티크하지 않은 단어를

제목으로 한 것을 보면

분명 그 내용은 상상 이상이라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다른 것이 상상되는 고유명사 아닌 고유명사를 책 제목으로 썼다는 것은

장편 소설 <최후의 만찬>을 읽고 나면

읽은 이에게 최후의 만찬이라는 단어는

이제 혼불문학 수상작인 서철원의 최후의 만찬이라는 생각외에는

다른 것을 생각하지 못하게 하는 힘이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조선시대 말기의 서학이 백성들에게 널리 퍼지던 시절이 배경입니다

좀 더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정조 시대의 이야기이고

천주교 박해가 당연하게 여겨지던 그 시대가 배경입니다


조상의 신주를 폐기하고 십자가를 높이 달았던 이들

유교에서는 감히 상상도 하지 못했던 일종의

조상신의 부정.  그동안 듣도 보도 못했던 예수라는 신을 섬기는 서학이라는 종교


그시기의 서학은 종교가 아니라 학문이었겠지요


우리나라의 천주교의 시작은 세계에서 유례없이

선교사의 아무런 전파없이

스스로 학문으로 들여와서 전파된 종교입니다

이는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전례가 없는 일이지요


윤지충의 집에서 발견된 13인의 식사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최후의 만찬에 등장하는 인물들이겠지요


<최후의 만찬>은 소설이기 때문에

개연성있는 허구입니다

책을 읽으면서 정말 이랬을까 역사적인 근거가 있는 사실일까를

계속 생각하면서 찾아가면서 읽은 소설입니다


찾아보면서 읽었던 일이 전혀 번거롭거나 귀찮지 않은

그저 책을 읽으면서 더 궁긍해지는 사실들을 짚고 넘어가야

책에 더 몰입을 할 수 있기에 당연한 과정이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위인들

장영실, 김홍도, 정약용 등등...

이런 위인들이 한꺼번에 서학이라는, 천주교박해라는 사건하에

동시적으로 이름이나타나고 그 시대에 정말 그랬는지

궁금해지는 그런 소설입니다


장영실의 최후는 기록이 없기에 어느누구도 알지 못하지요

하지만 <최후의 만찬>에서는 그림에 장영실이 등장하며

그 비밀을 풀기위해 밀라노로 김홍도를 파견합니다


장영실과 그림의 관계는 무엇이었으며

이 그림이 어떤 비밀을 가지고 있기에 처음부터 등장해서

궁금증을 자아낼까...



 


<최후의 만찬>은 제목을 듣자마자 바로 읽고 싶었던 소설이었습니다

보통 **문학상을 수상한 소설들은

이애하기 난해하며

작가의 뜻을 파악하기가 힘든 경우가 많은데

<최후의 만찬>은 수상작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사실과 허구가 엮여서

범인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사실들이 펼쳐집니다


과연 작가의 상상력의 끝은 무엇일까요

재미있는 소설이 흔치 않은 이 시대에

이런 책을 만들어준 작가에게 감사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