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김초엽 지음 / 허블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뭔가 전체를 아우르는 감상을 적고 싶었는데 그건 내 역량 바깥의 일인 것 같아 단편별로 따로 남기게 되었다.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

어쩌면 일상의 균열을 맞닥뜨린 사람들만이 세계의 진실을 뒤쫓게 되는 걸까?

이 세계가 어떤 비범한 한 사람의 시행착오에 의해 완전히 다른 곳으로 거듭났다는 설정은 그 비현실성 탓에 더욱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인류의 삶이란 생각보다 그리 논리적이지도 합당한 인과에 근거하지도 않음을 느낄 때면 스스로가 조금은 어른이 되었다는 착각에 사로잡히게 된다.

내게 진짜로 주어진 고민도 아닌데 '마을'과 '시초지' 중 어느 한 곳을 고르기가 쉽지 않다. 마을에서 누릴 안온한 행복을 열망하게 되면서도, 한편으론 시초지 조상으로서(?) 정제된 행복이 갖는 한계가 어느 정도 짐작 가능하므로 두 곳의 존재 모두를 알면서도 마을로 떠나기란 결코 자명한 선택의 문제는 아니리라 믿는다. 우리는 '다름'을 밀어내면서도 동시에 거기에 이상하게 끌리기도 한다. 최근 전기가오리를 통해 읽은 텍스트에서 배운 '과오없는 불일치'라는 개념을 생각해보게 됐다. 내가 이해한 대로라면 철학이라는 학문 안에서 이 개념은 엄밀히 말하자면 존재하지 않는 것이지만, 그 예시로 '마을'과 '시초지'가 주어진다면 나는 둘 중 어느 쪽이 '참'인지 고르지 못할 것 같다. 애초에 이 의문이 실재의 영역 바깥에 놓여있다는 한계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아니, 사실은 너무 내밀한 내부에 놓인 문제이기 때문일지도. 표제작도 아닌데 가장 먼저 읽은 탓인지 이 단편에 대한 인상이 이 단편집 자체에 대한 인상으로 남게 되었다. 나는 이 책을, 미온수로 꼼꼼하게 세수한 후 점차 피부가 식어가며 느끼는 묘한 개운함으로 기억하게 될 것 같다. 내 머릿속을 딱 그렇게 씻어내고 싶다는 열망까지 함께 담아서.

"스펙트럼"

언어는 개체의 세계를 형성한다. 평생 한국어를 쓰다가 영어가 주 언어인 곳으로 잠시 이주했을 때 느낀 자유는 때론 '이해할 수 없는' 답답함을 이겼다. 영화 <콘택트>나 테드 창의 원작 소설 《당신 인생의 이야기》를 읽을 때면 이를 초월하는 감정을 느낀다. 내가 감각하지 못하는 우주의 질서에 조금 더 가까이 가 닿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주는 설렘, 그리고 때론 우리가 알지 못하고 어쩌면 영원히 미지로 남을 '어떠한' 세계가 존재한다는 것만으로도 위안을 받을 때가 있다. 내가 그저 우주의 먼지일 뿐이며 그러니 내 눈앞에 닥친 시련 역시 그리 대단치도 않은 사건이고 그러니, 멋대로 살다 멋대로 가도 괜찮다는 결론이 주는 위안. 그런 생각에 도달하고나서야 일상에 숨긴 경이와 아름다움이 빼꼼 제 존재를 드러내는 것이다.

"공생 가설"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그건 상식이지." 같은 말을 더 이상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럴 수 있을 만큼은 그래도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본 것 같다. 상호 공통으로 인지하고 있는 정보 혹은 통념, 같은 비교적 단단한 틀에 갇힌 생각을 무너뜨리고 그 공간을 넓히는 게 인간이 시간을 먹으며 생을 유지하는 유일한 의의라는 생각을 한 적도 있다. 나 혼자만이 온전히 품고 살아야 하는 기억이라는 (일종의) 착각은 때론 서글프지만 가끔은 우리를 좀 더 단단하게 만들어주기도 한다. 류드밀라 마르코프에게 '행성' 역시 그런 존재였을 것이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이 리뷰를 쓰기 직전에 영화 <해리엇>을 본 게 문득 절묘한 우연처럼 느껴진다. 인위적인 길이 만들어지기 전 '길'이란 건 사람들이 꾹꾹 밟아누른 발자국이 쌓여 만들어졌을 것이다. 그러한 길의 시대를 지나 이제 우리는 '만들어진 길' 위만을 걷는다. 가고 싶은 목적지를 정하면 그 경로는 잘 닦인 도로 위를 달리는 버스나 철로 위 기차, 선박과 항공편, 인간의 여정은 이러한 노선에 의해 재구성된다. 바야흐로 자릿수가 달라져버린 2020년, 이제야 되묻게 된다. 우리는 언제부터 '노선'이 존재하지 않는 여정을 꿈꾸지 않게 되었을까? 영화 <해리엇>은 두 발로 자신의 여정을 밟아 만들어간 흑인 노예 해방 운동가이자 본인 역시 힘겨운 노예의 삶을 탈출해 자유를 찾아나선 운동가 해리엇 터브먼의 실제 여정을 그린 이야기다. 해리엇은 노선 없는 길 위에 서는 것을 서슴지 않았다. 다른 노예들의 자유를 찾아주기 위해 나중에는 캐나다 국경까지 몇 백 마일 거리를 쉼없이 걸었다. 이젠 거의 2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 과거지만 당시에도 도보보다 따른 마차와 기차가 있었다. 다만 '자유'라는 도착지를 향하는 노선이 거기에 존재하지 않았을뿐. 그럼에도 그는 멈추지 않았다. 안나가 그랬듯, 해리엇 역시 자신이 가야할 곳을 정확히 알고 있었으니까.

오래전 우리가 처음 배운 길의 본질에 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길이 있기 때문에 가는 것이 아니라, 어디로 갈지 그 목적지를 혹은 자신의 힘으로 노선을 만들어간 여성들의 이름이 여럿 머릿속을 스치운다. 노선이 없거나 아주 많이 돌아가더라도 개의치 않고 꾸준히 길을 개척해나갈 수 있었던 힘의 일부는 그들이 겪은 불편함에 기인하고 있을 것이다. 앞으로 새로이 생겨나 단단히 닦여나갈 길들의 존재에 벌써부터 마음이 벅차오른다. 설령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 해도, 우리는 계속 길을 만들어갈 것이다. 속도는 언제나 방향을 앞서지 못한다. 중요한 건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그 사실 자체일 것이다.

"감정의 물성"

인간 감정의 물성을 이제서야 의식적으로 고찰해보게 된 것이 오히려 조금 놀랍다. 이런 종류의 물성을 떠올리면 나는 어딘지 진득진득한 감촉을 떠올리게 된다. 순전히 지금 이 글을 쓰고 있으면서 콧물을 줄줄 흘리고 있기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깔끔하게 떼어내지지 않아 마지막 순간에도 찝찝한 흔적으로 남는 스티커 접착면 같은 느낌이라고 할까. 이러한 감정이 유의미한 데이터로 정제될 수 없는 결정적인 이유는 너무나 당연하게도 인간이 그다지 논리와 결부한 존재가 아니기 때문일 것이라 주장하고 싶다. 혹시, 차라리 완전한 비논리적 잣대(라는 게 있다면)에서 바라본다면 우리의 정신적 내부를 더 투명하고 정연하게 밝혀낼 수 있게 되는 건 아닐까? 어째서 누군가는 이모셔널 솔리드 같은 제품을 사들이고, 또 누군가는 이 소설을 읽으며, 또 누군가는 이러한 리뷰를 중언부언하며 써내려가고 있는지도.

"관내분실"

처음 컴퓨터의 개념을 배울 땐(나는 그 개념을 배운다는 일종의 유행 같은 게 돌 때 학교를 다녔다) 모든 게 새로웠다. 억지로 외워야할 것도 많았다. 이후 나는 이런저런 우연으로 대학에 진학하면서도 계속해서 컴퓨터 과학을 배웠고, 몇 년 더 관련 직종에서 근무했다. 그걸 지금에와서 다시 돌아보면 이런 신기술 및 그 기반이 되는 체계는 전부 생각보다 인간적이다. 애초에 (어떤 우연에 의해) 인간이 고안해낸 개념인 탓일 것이다. 인덱스 분실은 알고 보면 이 인간세계에서 생각보다 왕왕 일어나는 일일 것이다. 다만 그 분실의 대상은 고립되어 자신의 상태를 알아채지 못하고, 나머지 인간들은 그 분실의 대상이란 존재 자체를 우선 잊게 되는데, 실은 그것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수 조차도 인지하지 못하기가 쉽다. 마치 숫자 0이 다른 숫자들보다 한참이나 더 늦게 발견된 것과 비슷한 이치다. '없음'이 실제론 '없기 때문에 있음'이란 데이터값을 갖는다는 건 간과하기 쉬운 사실이다. 이 부재를 알아차리게 되고 나서야 우리는 '마인드'의 존재 의의를 감응할 수 있게 된다.

컴퓨터라는 장치가 생각보다 인간적이라는 점에서 이타보다 이기에 가깝다면, 이 마인드는 그럴싸하게 이타를 흉내내는 방식으로 개인을 위로한다는 점에서 이기적이다. 사실 모든 문명의 이기란, 인간의 이기주의에 그 근원을 빚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이타주의마저도, 스스로를 이렇게나 상대를 이해할 수 있는(혹은 그러려고 노력하는) 인간이라 느끼는 그 감정이 보상으로 전해지는 일종의 이기주의인지도. 이해한다는 행위를 때론 단순히 '이해한다는 감정을 느낀다'고만 한정하게 되는 건 그게 한 개인의 안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통제를 벗어난 바깥으로 필연적으로 이어져야하기 때문일 것이다.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

아마 제목 때문에라도 표제작은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 되어야 했겠지만(?), 아무런 이유를 대지 않고 그냥 여기 실린 단편 중 딱 하나를 꼽으라면 나는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를 고르고 싶다(가장 좋아하는 걸 꼽으라면 가장 첫번째 단편을 대겠지만). 동화의 주 타깃 연령층에서 꾸준히 멀어져가고 있는 가운데 나는 이게 왠지 모르게 아주 동화 같은 이야기라고 생각했다. 《샬럿의 거미줄》 같은 그런 동화. '어릴 때 이런 걸 좋아했지' 회상하는 대신, 나도 이런 걸 읽으며 자랐다면 좋았을텐데 하는 미묘한 아쉬움을 남겨주는 단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