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는 오리의 부리 하나를 벌리더니 칼끝을 입 안에 있는 얇은 입천장에 재빨리 박아 넣고 그대로 뇌까지 찔렀다. 그다음 칼을 빼낸 뒤 목에 박아 넣어 바로 경동맥을 끊어 피를 뺐다. 두 주 전에 도축장에서 목격한 것과 거의 동일한 절차였다. 고통을 느끼지 못하도록 뇌와 몸의 연결부위를 재빨리 끊어낸다. 그다음 피를 빼낸다. 빨리 해치운다. 깔끔하게 처리한다.

새로운 기술을, 그것도 어른이 되어서 배우려면 일상적으로 알고있는 것을, 혹은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잊어버려야 한다.

도축 행위는 최소한 당신이 당신 자신의 몸뿐만 아니라 돼지의 몸의 위치를 현재시제에서 찾아내기를 요구하는, 바로 지금, 이순간의 행위다.

모두가 우리가 먹는 동물과 이 정도로 가깝게 살아간다면 어떨까? 만일 밥상에 고기를 올리기 위해 이런 톱과 칼과 고기용 식칼을 쓰는 일을 직접 하거나 아니면 최소한 눈으로 봐야 한다면? 그렇다면 우리는 고기를 얼마나 많이 먹을 수 있을까? 우리가 그 일이 요구하는 힘겨운 역설을 이해한다면 그 친밀한 독해를 해내는 다른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은 비용을 기꺼이 지불하려 할까?

미국인들은 한 해에 일인당 무려 120킬로그램에 달하는 고기를 먹는데, 이는 오스트레일리아 다음으로 가장 많은 양이다. 어쩌면 미국인의 식탁에서 16온스짜리 꽃등심이 자부심의 상징이 된 이유는 미국 고기가 (값이 싼 건 말할것도 없고) 풍미와 질감이 없기 때문인지 모른다. 우린 16온스짜리 꽃등심을 통째로 먹고 질려버리는 걸로 만족해야 하는 걸까?
좀 더 나이 든 동물을, 운동이 허락되고 다양한 사료를 먹는 동물을 (복잡한 풍미와 질감을 가지고 있고, 더 오랜 시간 사육해야 한다는 점에서 어쩔 수 없이 더 비싼 동물을) 먹는다면 우리의 육식 생활은 어떻게 달라질까? 아마 가스코뉴의 내 친구들처럼 고기를 훨씬 적게 먹게 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