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패러독스 1
피에르 바야르 지음, 김병욱 옮김 / 여름언덕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분히 독자를 꾀는 생활서 같은 인상을 주는 제목이다. 그러나 책을 펼치고 오스카 와일드의 인용, 나는 내가 평문을 써야 하는 책은 절대 읽지 않는다. 너무 많은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을 마주하는 순간 독자는 아마 이 다음 장을 넘겨도 괜찮을지에 관해 깊은 고민에 빠지게 되어버릴 것이다. 적어도 나는 그랬다.


저자 피에르 바야르는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1을 통해 읽는 이들에게, 개개인이 갖고 있던 '읽는 행위'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선사한다. 책을 읽는다는 말이 갖는 의미를 자잘하고 친절하게 손수 쪼개어 알려주며 어느 문화권 내에서나 일정 수준 이상으로 신성시 되어왔던 책과 독서를 좀 더 삶에 밀착된 일상적 행위로 느낄 수 있도록 이끈다.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이 책을 할 수 있는 한 열심히 읽고난 후 이 리뷰를 쓴다. 저자의 지론을 거스르는 방식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게다가 책에 관한 얘길 듣는 것은 책 읽기 그 자체보다 훨씬 재미있는 일이기는 하지만 책 자체를 다루는 책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은 사실 생각보다 만만치 않은 일이다. 설상가상으로 책을 읽은지도 벌써 상당한 시간이 흘러 대부분의 생각이 휘발된 상태이므로 짐짓 아는 체하며 하나마나한 쉰소리를 늘어놓는 대신 저자가 권유한 대로 지금 떠오르는 책에 대한 나의 생각들을 이야기해보려 한다.


우선 이 책에서는 독서를 근본적인 행위로써 좀 더 세분화하여 바라본다. 단순히 읽었다 / 읽지 않았다가 아니라,


전혀 모르는 책(Unknown Book; UB)

대충 뒤적거려 본 책(Skimmed Book; SB)

어디선가 들어본 책(Heard Book; HB)

읽고난 후 내용을 잊어버린 책(Forgotten Book; FB)


이렇게 넷으로 나눈 후 ++/+/-/-- 와 같이 사적인 평을 붙이는 식인 것이다. 이렇게 하면 읽지 않은 책에 관해 말하기 위해 진땀을 빼지 않아도 좋게 된다. 피에르 바야르가 얼마나 거침없이 이 분류를 사용했냐면 어떤 책에 관한 이야길하면서, 그 책 속에 등장하는 언급 정도에 그칠 것이 분명한, 이 세계에는 물리적으로 존재하지도 않는 책에 관해서도 지나침 없이 같은 식의 이름표를 달아두는 정도다.


책을 읽거나 읽지 않은 상태로만 나누는 것의 유일한 효과란 읽지 않은 상태를 떳떳하게 여기지 못해 입을 다물거나 읽은 척 소모적인 담론을 던지는 상황뿐이다. 인간은 어쩌면 평생에 걸쳐 책을 읽어야 하는데 읽지 않았군. 스스로를 탓하며 살아가는 종족인지도 모른다. 그것이 실제로 자신에게 필요한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 다가가기보다도 더 먼저 말이다. 저자는 어차피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책을 읽을 게 아니라면(이는 분명하게 불가능한 행위이며 다분히 미련한 짓임을 그는 숨기지도 않는다.) 어떤 책도 읽지 않는 것이 오히려 현명한 일일 수 있으며, 현대 사회를 살아가며 책을 단 한 권도 읽지 않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자 우리 대부분은 애매하게 몇 권의 책을 읽으며 살다 죽을 것이라 말한다. 그는 책이라는 매개가 보다 일상적이며 대수롭지 않은 텍스트가 되길 역설적으로 설파한다.


위의 목록에 열심히 읽은 책이라는 분류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 책에 관해 쉬이 간과하기 쉬운 점 하나는 이것의 원형이 언어로 짜인 것이라는 이유로, 책을 읽는 행위가 그 자체를 고스란히 소화하게 됨을 의미한다는착각에 있다. 요즘은 거의 사지 않지만 나는 한 때 그와 비슷한 마음으로 음반을 샀었다. 손에 잡히는 느낌을 만끽하고 싶어서. 여전히 종이책을 사들이며 느끼는 든든함 역시 그리 다르지 않은 마음일 것이다. 책을 사는 시점과 실제로 그걸 펼쳐 읽는 시점 사이에 찰나에서 무한대까지의 시간 간격이 다양하게 분포하는 것을 보면 단순히 어떤 책을 사는 것만으로도 그 책에 대한 기대감이 적어도 절반 이상은 채워지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든다.


대충 읽든, 열심히 몇 번을 읽든 어느 쪽도 그 책의 온전한 원형이라고는 말할 수 없음을 저자는 화면책, 내면책 등의 용어로 이름 붙여 설명한다. 이는 책을 웬만한 노력으로는 다가갈 수 없는 절대적 존재로 표상한다기보다는 책 역시 인간이 만들어낸 하나의 수단에 불과하며 그 자체보다는 그것을 통해 우리가 재기하게 되는 담론들에 가치를 부여해야 하는 것이라 이야기한다. 이 지점에 이르게 되면 책 하나를 꼼꼼히 처음부터 끝까지 전부 읽었는가 여부가 더 이상 중요해지지 않음을 쉽게 납득할 수 있게 된다. 그것이 대단히 많이 팔린 책이든, 대단히 유명한 저자의 머릿속에서 시작된 것이든, 어찌 되었든 그 모든 것들은 그저 책인 것이다. 저자의 아이디어를 통해 책과 독서는 오랫동안 허울 좋게 걸치고 있던 투명한 망토를 벗어내고 마침내 가치 중립적 단어로 거듭나게 된다.


1.     FB++.






http://nopethatmuch.creatorlink.net/forum/view/858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