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하스 의자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4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기다린만큼의 보상을 해주었다고 해야 하나? 이 책은 나에게 큰 감정의 파고를 일으켰다. 도대체 왜 그녀는 모든 사물과 현상을 절망으로 종결짓는 것인가 하는 의구심을 내내 떨쳐버릴 수가 없었던 나는 중반이 지나서야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불륜. 행복한 순간의 끝을 언제나 절망으로 끝맺을 수 밖에 없었던 그 이유를 알게 된 것이다.

   "사랑해"
  애인은 나의 눈을 가만히 쳐다보구선,
   "나도 사랑해"라고 말한다.
  나는 매일 조금씩 망가져 가고 있다.

누가 끝을 알고 떠나는 자의 뒷모습이 아름답다고 했는가. 끝을 알고 있어 절망하고, 끝을 알고 있어도 떠날 수 없는 자의 모습이 여기 있지만, 죽음에 다다르는 절망속에서 소리없이 절규하는 그녀의 모습은 결코 추하지 않다.
절망과 죽음과 사랑이란 음표로 그려진 오선지를 연주하는 '웨하스 의자'를 듣고 있노라면 끝이 없는 나락으로 빠져드는 느낌이 든다. 며칠 간을 절망에 허덕이게 했지만 나는 이 책을 사랑할 수 밖에 없다. 사랑은 곧 절망이요, 죽음인 것이다.


어렸을 때, 내가 가장 좋아하는 간식은 웨하스였다.
바삭하고 두툼한 것이 아니라, 하얗고 얇고, 손바닥에 얹어만 놓아도 눅눅해질 듯 허망한 것이다. 잘못 입에 넣으면 입천장에 들러붙어 버리는.
사이에 크림이 살짝 묻어 있지만, 그것은 크림이라기보다 설탕을 녹여 만든 풀처럼 엷다. 얇고, 애매한 맛이 난다.
나는 그 하얀 웨하스의 반듯한 모양이 마음에 들었다. 약하고 무르지만 반듯한 네모. 그 길쭉한 네모로 나는 의자를 만들었다. 조그맣고 예쁜, 그러나 아무도 앉을 수 없는 의자를.
웨하스 의자는 내게 행복을 상징했다. 눈앞에 있지만, 그리고 의자는 의자인데, 절대 앉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