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림 1 (1부 1권) - 왕도(王道), 하늘에 이르는 길
최인호 지음 / 열림원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쎄 내가 보기에는  이 책은 소설은 아니다. 어디를 읽어봐도 소설이라곤 하기엔 곤란하다. 다만 지금시대의 최고의 소설가가 쓴 글이라서 책 표지에 장편소설이라고 했는가 추측한다. 차라리 기행문이라 하면 적당하다.역사적 사실을 당대의 최고의 소설가(픽션)의 눈으로 바라보는 책으로 알고 읽으면 도움이 될 것이다. 조광조와 중종 그리고 그 시대의 역사적 사료들의 단편을 모아서 덧붙이고 꾸미고 하는 글솜씨에 감탄한다.

나는 가끔 역사를 되돌리고 내 편의대로 생각해본다. 만일 어떤 역사적 사실이 없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기묘사화가 없고 중종이 조 광조를 계속 신임하였으면 조 광조의 알성시 대책처럼 하늘의 도가 널리 퍼졌을까? 아니면 조 광조 자신이나 또 다른 한계에 막혔을까? 참 재미있는 구상이다.  내 생각으로는 조 광조도 훈구파와 같은 개혁의 대상이 될 것이 뻔한 이치이다.

조광조는 급진적인 개혁가는 아니다. 성리학으로 중무장한 원칙론자이다. 이 어지러운 세상을 구할 수 있는 것은 공자의 말씀밖에 없다는 원칙을 세워 세상의 모든 소리에 귀를 막는 모습이다. 자기의 테두리 범주에 벗어난 모든 사람은 타도의 대상처럼 보인다. 그렇다고 조 광조의 정적인 정국공신들의 처세술을 두둔하는 것은 아니다. 일관되고 자기의 원칙에 충실하다 보니 한 번의 반란에 무너지는 어처구니 없는 실수를 범했다. 조 광조 답게 살다 간 것이다.

조선의 권력구조, 성리학의 전달 경로와 사상, 그 시대적인 배경을 미미하게 아는 사람에게는 무언가 아쉬움이 남는 책이다. 이 책으로 유교를 전부 이해하려는 사람에게는 무리가 있다, 소설은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