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설계
스티븐 호킹.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지음, 전대호 옮김 / 까치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물리학을 바라보는 스티븐 호킹의 거시적 관점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궁금했다.  

다음의 세가지 점이 내게는 인상 깊었다.

첫째는 현재 물리학의 최대 이슈라 할 통일장 이론에 대한 그의 회의적 견해이다.

'위대한 설계'에서, 그가 보여준 가장 큰 변화는 바로, 대통일 이론에 대한 생각이다. '위대한 설계'의 전작인 '호두껍질 속의 우주'에서 스티븐 호킹은 대통일 이론에 대해서 나름의 긍정적 전망을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이 책에서 그는 아마도 초끈 이론이 통일장 이론의 가장 유력한 후보가 될 것으로 생각하며, 초끈 이론의 완성판이라 할 수 있는 M이론은 실재하지 않을 거라는, 다소 회의적인 견해를 보여준다. 현대 물리학이 보여주는 놀랄만한 성과를 고려할 때, 이는 다소 우울한 전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여러 개의 초끈 이론이 공존하는 현재 상황이 물리학이 이룰 수 있는 최고의 성과이며, 이는 물리학이 단일의 이론으로 통합된, 근사한 하나의 체계를 지닌 방정식으로 환원될 수 없을 거라는 예견을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는 그가 이전의 책에서도 언급한 바 있는 물리학에 대한 실증주의적 관점이다.   

이는 전작들에서도 보여주었던 태도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이번 책에서는 다소 형이상학적 색채마저 띄고 있는 듯 보였다. 그는 물리학이 실재를 다루고 있다기 보다는, (인간의 지각과 인식이라는 필터를 통해 인식되는) 경험적 실재에 대한 나름의 가능한 설명 체계에 가깝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따라서 나름의 가능한 설명 체계는 복수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어느 것이 더 참이다 라고 주장할 만한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는 것이다.

세번째는 현대의 물리학이 창조론을 지지하고 있지 않으며, 우주가 무에서 태어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우주가 무에서 태어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이에 더해 인류라는 이 복잡한 생명체의 탄생이, 축복의 결과나 행운이 아니고, 인본주의적 관점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니까 인류의 탄생, 그리고 인류의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자연 조건(햇빛, 기후 등등의 것)을 고려할 때,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되는 상식적인 판단 (즉 누군가의 의도 혹은 의지가 개입되어 있다는)을 오류로 규정하고, 이를 인본주의적 관점을 통해서 이러한 오류를 반박하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