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과 유토피아 - 모던 디자인은 무엇을 꿈꾸었나, DT books 01
카시와기 히로시 지음, 최범 옮김 / 홍디자인 / 2001년 6월
평점 :
품절


역자 후기에 보면, 이 책의 원제목은 <유토피아의 꿈:20세기의 미래상>이었는데 번역과정에서 독자들에게 이 책의 성격을 보다 잘 전달할 수 있게 하기위해 <디자인과 유토피아:모던 디자인은 무엇을 꿈꾸었나>로 바꿨다고 한다. 이 구절을 읽고 이 책을 읽으면서 품던 의문내지 불만의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어느정도 이해가 되었다. 역자에게는 미안한 얘기지만, 이 책의 내용은 원제목에 더 잘 부합해 보인다. 이 책은 디자인 그 자체에 대한 논의는 별로 담고 있지않기 때문이다. 하긴 그랫으면 나같은 디자인 전공자가 선듯 구입하기 어려웠겠지만 말이다.

이책은 20세기초의 시점에서 봤던 미래 이미지와 그를 통해 드러나는 20세기초 모던 디자인의 모습에 대한-다분히 회고적인-에세이모음집이다. 프리츠 랑이 만든 사상 최초의 SF영화 <메트로폴리스>, <롯섬의 만능로봇> 등 근세기초에 쏫아저 나오기 시작한 SF소설, 20세기초 미국 시카고와 뉴욕에서 열린 만국박람회와 이를 통해 나타난 게데스 등 미국디자이너들이 그려낸 미래 이미지, 바우하우스에서의 그로피우스의 활약과 모던 디자인에 내재된 포디즘의 영향, 활력과 낙관에 넘치던 소비에트 초기의 진보적 디자인 활동 등이 이책의 소재들이다. 저자는 이 소재들을 마치 영화감독이나 사진사가 사방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동일한 피사체를 반복적으로 찍어대듯이 다양한 각도에서 여러번 거론한다. <메트로폴리스>나 만국박람회같은 소재는 정말 여러번 등장한다.

미래를 꿈꾸던 시점이 이미 과거가 되어서 그 미래마저 고색창연하게 느껴지는 이미지들을 돌아보는 재미,<메트로폴리스> 같은 낡은(?) SF영화를 보는것 같은 재미가 있다. 과거에 꿈꾸던 미래 이미지를 돌이켜봄으로써 얻는것은 미래에 대한 상상력이 아니라 그 시대사람들의 상상력에 대한 상상이다. 이런 작업을 통해 20세기초 모던 디자인을 이끌었던 사람들이 꿈꾸던 디자인에 대한 미래상을 접근할 수 있다는 거다.

역자후기에도 적혀있듯이 이책의 3부 ‘전자매체의 공간’은 앞의 1,2부의 주제와도 결이 안맞고, 전쟁 등 주제와 무관한 내용에 대해 주책맞게 뛰어든 감이 있다. 재밌는건 이 책이 번역된 시점이 원저가 출간된지 10년 가까이 차이가 나서 저자가 조망하는 전자매체에 대한 견해가 이미 시점이 지난 옛말이 되어버렸단 거다. 저자가 옛날이 되어버린 20세기초를 돌아보듯이 독자는 옛날이 되어버린 1993년도의 저자의 ‘세상보기’를 돌아보게 된다.

이 책은 아주 만족스럽진 않지만 모던 디자인을 돌아보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만한 책이다. 특히 바우하우스로 대표되는 유럽 모던 디자인에 미친 포디즘의 영향을 논한 대목은 매우 관심이 갔다. 앞으로도 더 많은 책들이 소개되고 쓰여져서 디자인계에 풍부한 지적자산이 쌓여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