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호모 사피엔스 - 인공지능의 가속적 발전과 인류의 미래
레이 커즈와일 지음, 채윤기 옮김 / 나노미디어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에 대한 소감을 한마디로 말하자면 떠벌이같다고나 할까...
책을 읽는 내내, 저자의 박학함과 천진난만함(?)이 계속 나를 혼란시켰다. 때론 어느 학자의 입장을 조목조목 비판하기도 하고, 깊이 성찰하기도 하지만, 또 어떤 때는 사업가적 재기가 번뜩이고 인공지능의 미래에 대한 장미빛 환상을 즐기기도 한다.

가령 뇌스캔에 대해 얘기하는 태도는 냉정하고 대담하기 이를때 없고, 기계가 마음을 가질수 없다는 로저 펜로즈의 주장에 대해선 조심스럽고 진지하게 반문하는가 하면, 자신이 발명한 인식프로그램을 설명할때는 좀 뻔뻔스럽다고 느껴질만큼 열심히 자기PR을 한다. 이런 다채로운 모습이 정말 놀라웠다고나 할까... 하여튼, 나로선 이렇게 지적 기반이 탄탄한 사람이(책을 통해 느끼기에) 이렇게 경박하게 주의주장을 늘어놓는게 의아스러울 따름이었다.

이런 평은 평이라기 보다 소감이라고 해야 할테니까, 이 책을 살지말지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해 좀더 포멀한 얘길 하자면....

척봐도 알수있듯이 이 책은 인공지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할것이고, 머지않은 장래에 기계가 인간을 대체할 것이라는 주장을 담은 책이다. 주장만 들으면 SF같은데, 상당한 논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리 만만하지는 않아뵌다.

그러나, 뒷부분으로 갈수록, 시점이 미래로 갈수록, 만화같아져 버린다. 하긴 100년후의 기술발전을 서술한다면, 불가피한 것일지 모르지만.

또하나 의문점은 스스로 법칙이라고 주장하는 기술발전에 대한 '시간과 카오스의 법칙'은 기껏해야 경험론 수준에 그쳐보이는데, 정색을 하고 주장한다는 거다.

그러나, 이러 단점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정말 재미있고 풍부한 책이다. 여기 등장하는 그 수많은 기술들은 대부분 최근의 것들이고, 하나하나가 다 흥미로운 것들이다. 저자의 주장이야 어쩌튼 함 섭취해 볼만하다고 말할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