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지능의 수수께끼
제임스 트레필 지음 / 현대미디어 / 1999년 9월
평점 :
품절


아마존의 서평이 좋지 않아 별로 기대를 하지않았던 책인데, 막상 읽어 보니 생각보다 유익한 책이었다.

뇌, 지능, 마음, 정신. 이런 것들이 현대 과학, 그리고 철학의 주요관심사가 되고 있는 것같다. 이 책의 주제 또한 인간의 지능이다. 저자의 관심은 원제목-우리(인간지능)는 독특한가?-에 잘 드러나있는데, 저자는 인간지능이 동물의 지능이나 인공지능(컴퓨터)과 얼마나 다른지에 대해 논의를 전개한다.

이 주제는 튜링 테스트같은 사고실험이 제기된 이후로 여러 사람들에 의해 치열한 논쟁을 거치면서 진행되어 왔는데, 기계가 인간지능을 추월하여 언젠가는 인간의 뒤를 이어 세계를 지배할 것이라는 식의 극단적 인공지능주의자와 기계는 결코 지능이란 것을 가질 수 없다고 하는 극단적인 인공지능회의론자 사이에 저자는 중도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 같다.(기계가 지능을 가질 수는 있는데, 그 지능이 인간의 지능과는 같을 수 없다라는 식이다.)

이 책은 양자의 주장을 쉽고 재미있게 그리고 비교적 공평하게 설명해 주고 있어서, 나 같은 일반인이 읽기에는 적합한 책이었다. 그러나 저자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로 제시한 복잡성의 과학은 충분히 설명된 것 같지 않다.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는 설명은 없고 단지 선언뿐.

이 책을 살지 말지를 고민하는 네티즌에게 이 책의 내용뿐 아니라, 번역이나 편집등에 대해서도 미리 알려주고 싶은데, 한 마디로 말하자면 무척 짜증스럽다는거다.

아마도 분명 본문에는 'animal kingdom'로 쓰여있을 것 같은 '동물계'를 '동물의 왕국'으로 번역하고 있는데, 이 책에는 '동물의 왕국'이 한두 번 나오는 게 아니다. 또 '강 인공지능(strong AI)'을 책 앞쪽에선 '고도의 인공지능'이라고 번역하고 뒷쪽에선 '강력한 인공지능'이라고 번역해 놓았다.

또 문맥으로 보아선 보통 '창발성'이나 '발현'으로 번역되는 `emergence' 인것 같은데, 이걸 '돌발적인 특성'이라고 번역해 놓았는가 하면, '병렬처리'를 '평행 처리법'으로 용감하게 번역해 놓았다. 과학용어가 기존에 어떻게 번역되어 있는지도 알아보지 않고 걍 번역해 버렸는데, 그나마 일관성도 없다. 그런데 책 뒤편에는 전문번역가라고 쓰여있다.

이런 무책임한 번역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한가지 주제에 대해 풍부하고 과학적인 설명을 하고있는 그런대로 잘쓰여진 대중과학서적이라고 생각된다. '인간이 이 세계에서 정말 독특한 존재인가'라는 흥미로운 주제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