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균 쇠
재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사 / 199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은 무기, 병균, 금속이지만, 막상 총이나 세균, 철기 문명에 대한 얘기는 별로 없다.
저자는 인류 문명의 불평등을 낳은 이 3가지 요인이 오늘날과 같은 세상을 만드는 데 얼마나 결정적인 구실을 해왔는지를 서술하려고 한 것이 아니라, 이러한 요인들이 왜, 어떻게 발생했는가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 관심은 저자가 조류 연구를 위해 거주하던 뉴기지에서 만난 알리라는 인물의 질문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알리의 질문은 이렇다. '왜 우리 흑인들은 백인들처럼 그런 '화물'을 만들지 못한 겁니까' 이 책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다.

많은 사람들이 나름대로 이 질문에 대답해왔다. 그 중 가장 악질적인 대답은 인종주의적인 대답이다. 이젠 드러내놓고 인종주의적인 주장을 하는 이는 없겠지만,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문명의 불평등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종종 있다. 이러한 설명방식은 문명의 불평등이 우리 유전자에 각인되어 있기 때문에 불평등은 필연적인 것이고,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란 이데올로기를 전파한다.

알리의 질문에 대한 또 다른 설명은 역사학같은 분야에서 시도되는데, '역사'란 말뜻에서 볼 수 있듯이 선사이전의 시간에 대한 설명은 다른 분야에 맡기고 만다. 역사학적 설명만으론 특정 민족의 성취나 위대한 정치가의 결단이나 전쟁같은 (비교적) 단기적이고 우연적인 흐름은 설명할 수 있지만 그 이전의 더 결정적인 요인이 왜 발생했는지에 대한 설명을 하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제레드 다이아몬드는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우리가 딛고있는 거대한 땅덩어리의 모양에서부터 찾는다. 가로로 뻗어있는 광대한 유라시아 대륙과 세로으로 뻗어있는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의 차이로부터. 땅덩어리의 모양으로부터 어떻게 인류문명의 차이가 설명될 수 있을까? 책에 써 있다.

알리의 질문에 대한 대답외에 이 책이 주는 또 하나의 선물은 우리같은 한국사람들을 위한 건데,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확인이다. 아직도 한자병용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이 책을 읽어보고 미국인 제레드 다이아몬드에게 한 수 배우시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