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월터 J. 옹 지음, 이기우 외 옮김 / 문예출판사 / 1995년 2월
평점 :
절판


한 얘기 또하기, 구구절절 리듬을 타면서 말하기, 버럭버럭 화를 내면서 말하기. 시골 할아버지들과 얘기를 하다보면 누구나 한번쯤은 느껴본 것일 것이다. 옹은 시골 할아버지들의 이런 태도가 말의 세계와 글의 세계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임을 설명해 준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말을 사용할줄 안다. 아무리 원시적인 생활방식을 고집하는 종족이라고 하더라도. 그러나 글은 다르다. 글은 그 역사가 길어야 5000전 쯤에야 만들어진 '최신 발명품'인 것이다. 시간의 제약을 받지않고 보존할 수 있고 소지할 수 있고 자기혼자 쓸수 있어 반성적인 발화를 가능케한 '글'은 '말'만 있었던 이전사회와는 전혀 다른 인간성과 인간사회를 만들었다.

월터 옹은 글이란 '물체'가 인간 사회를 얼마나 심각하게 변화시켰는지, 그로 말미암아 이제는 오히려 이상하게 느껴지는 구술성은 어떤 것인지를 자세하고도 재미있게 전해준다. 더 나아가 인쇄로 말미암아 문자성이 결정적으로 확대되었다는 것과 TV, 라디오 등 전자매체의 발달로 새로운 구술성이 출현하는 조짐도 전해주고 있다.

(저자가 이 책을 쓸 때에는 인터넷이 알려지지 않았을 때이고 퍼스널 컴퓨터의 보급이 겨우 시작될 때였으므로 제2의 구술성에 대한 사례들이 덜 풍부했다고 볼 수 있다. 아마 지금쯤 쓴다면 미디어 구술성에 대한 얘기가 풍부해지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이 국내에 번역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지만 이미 인문과학 분야의 고전이 되어가고 있는 듯하다. 행간을 따라가다 보면 저자의 통찰력에 감탄하게 된다. 책 소개대로 어느 한 전공분야를 위한 책이라기 보다 인문, 사회과학 전 분야를 아우르는 교양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